학술논문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Educative) 수업 지원 양상 및 개선 방안
이용수 10
- 영문명
- Educative Supports for High School Geometry Instruction: An Examination of, and Suggestions for Teachers’ Guide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서희주 이선영 한선영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1권 제3호, 531~55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는 문서화된 국가 교육과정의 해석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실천하므로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 실현을 보조하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그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불충분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도서가 교육적 교육과정 자료(educative curriculum material)의 측면에서 교사의 수업을 지원하는 정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사용지도서의 교사 지원 및 수업설계에 대한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도출한 뒤, 이를 9종 고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기하 단원에 적용하여 빈도 분석을 하였다. 빈도 분석의 결과 국내 교사용 지도서에는 전반적으로 평가에 해당하는 지원이 월등히 많았으며 수업을 이끌어가는 전략에 대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국내 교사용 지도서에는 비록 그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제공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교육자, 교과서 및 지도서 집필진, 연구자들을 위한 제언을 논했다.
영문 초록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has undergone multiple cycles of reforms. Recent reforms emphasize teachers' role as who enact the written curriculum to their students. Teachers' guide is one of the resources that support teachers with enacting a given curriculum. Therefore, the potential teachers' guide has as a space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worth an in-depth examin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guides as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Nine guides for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ding scheme derived from literature. In addition, qualitative approach was applied to identify exemplary cases that contribute to increasing educativeness of teachers' guides. The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guides support assessment the most while providing limited guides for classroom instruction. The study provides various examples from the nine guides to enhance the quality of teachers' guides. The study ends with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writers, and researcher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