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2
- 영문명
-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in Web based XR on Engagement and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전주언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2호, 129~1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국내외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를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지만 플랫폼 내에서 아바타가 경험할 수 있는 브랜드 체험을 유형화한 연구는 부족했다. 물론 일부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을 유형화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대부분 경험경제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을 뿐 실감경제 관점에서 브랜드 체험을 논의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은 몰입형 기술에 근거하고 있지만 몰입형 기술에 대한 논의 역시 경영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부족했음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경험경제 관점이 아닌 실감경제 관점에서 웹 기반 XR 플랫폼에서 사용자(아바타)가 경험할 수 있는 브랜드 체험을 유형화하고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공간에서 사용자들은 탐색, 오락, 교류, 그리고 구성 체험을 경험할 수 있음을 밝혔다. 둘째, XR 플랫폼 속에서 사용자들은 오락 체험이 가장 높았으며 탐색, 구성, 그리고 교류 체험 순으로 경험을 하게 됨을 발견했다. 셋째,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 중 오락, 교류, 그리고 구성 체험이 집중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 중 탐색, 오락, 그리고 구성 체험이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해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Extended reality (XR) platforms can lead the immersive economy beyond the experience economy. XR is related to a real–virtual continuum that facilitates virtual elements being introduced into real spaces through AR or placing real behaviors in virtual spaces through augmented virtuality. Thus, these XR technologies are defined as immersive technologies where people behave as if the technological space is a real space. Although users appear to derive experiences from the escapism and enjoyment that retailers provide in virtual stores, discussion about this are relatively sparse.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the brand experience that users’ avatars can experience on an XR platform and affect to engagement and satisfact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brand experience in XR can be broken down into four dimensions that are differentially evoked by various brand spaces in XR: search, entertainment, relations, and assembly. And brand experience in XR can affect not only engagement judgments but also satisfaction. As discussed abov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brand experience that users hav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hysical and virtual worlds may differ from brand experience in the physical worl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eaningful implications can be proposed in that it attempts to derive a brand experience based on an immersive econom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시장의 자기잠식 효과 분석
-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전환비용과 공급사슬 성과
- 커피전문점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장기 지향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 공유물류 네트워크에서의 허브(hub node)의 역할 및 기여도 산정에 대한 연구
- 공감과 과흥분성이 소비자의 단계별 분노과정에 미치는 보복소비에 대한 분석
-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있는 브랜드 액티비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셔터스톡 AI 디자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
- 베트남 소비자의 한류 콘텐츠 인식과 소비의 사회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상표출원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