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이용수 79
- 영문명
- Increasing Returns to Information in Korean Popular Music Market: Focus on the Threat of Substitute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종대 이유석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2호, 91~9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Ijiri and Simon (1974)가 제안한 수확 체증 모형을 확장하여 국내 대중음악 시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음악은 경험재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다른 소비자의 구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따라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는 음악 상품일수록 그 자체로 자기상관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국내 대중음악 시장에 이른바 정보적 수확 체증 현상이 존재한다고 예측하고, 이를 써클 차트(Circle chart)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음악에 대한 주목을 분산시킬 수 있는 대체재가 등장할 경우, 음악 시장에 존재하는 저관여 소비자들이 일시적으로 이탈함에 따라 정보적 수확 체증 현상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대중음악의 매력적인 대체재로서 본 연구는 2022년 개최된 대형 국제 스포츠 이벤트인 베이징동계올림픽과 카타르월드컵의 개최 효과에 따른 시장의 반응을 분석하여, 일시적으로 정보적 수확 체증이 완화됨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중음악 시장에 정보적 수확 체증 현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소수의 연구 중 하나로서, 대체재의 위협이 대중음악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실무적 시사점으로서 대중음악 시장 구조와 아티스트 유형에 따른 마케팅 전략 또한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Korean popular music market by utilizing the model proposed by Ijiri and Simon (1974). As music is an experience good, we expect that increasing returns to information do exist in the Korean music market. Moreover, we expect substitute goods, such as sports events, to significantly affect the music market by reducing the magnitude of increasing returns to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low-involved consumers in the market can be distracted by international events with high quality, such as the Olympics and World Cup, and they may exit the market in the short- or mid-term . Using the data from the Circle Chart, we find that increasing returns to information exist in the Korean music market.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is phenomenon can be mitigated by substitute goods, which refers to international sports events in this study.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studies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increasing returns to information in the Korean music market. And it is also one of the few studies to assess the effect of substitute goods on the Korean popular music market. We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usic industry and artists as wel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III. 연구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시장의 자기잠식 효과 분석
-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전환비용과 공급사슬 성과
- 커피전문점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장기 지향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 공유물류 네트워크에서의 허브(hub node)의 역할 및 기여도 산정에 대한 연구
- 공감과 과흥분성이 소비자의 단계별 분노과정에 미치는 보복소비에 대한 분석
-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있는 브랜드 액티비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셔터스톡 AI 디자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
- 베트남 소비자의 한류 콘텐츠 인식과 소비의 사회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상표출원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