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이용수 64
- 영문명
- Which Consumers are Favorable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Need for Cogni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남아영 김미정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2호, 85~8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성향인 자기감시성이 CSR 활동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자기감시성과 CSR 활동 기업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소비자의 자기감시성과 CSR 활동 기업태도와의 관계를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조절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이 CSR 활동 기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어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이 높을수록 CSR 활동 기업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이 CSR 활동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욕구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낮은 자기감시성인 소비자가 인지욕구가 높다면, 인지욕구가 낮은 소비자보다 CSR 활동 기업태도에 호의적일 것이다. 반면에 높은 자기감시성인 소비자가 인지욕구가 낮다면, 인지욕구가 높은 소비자보다 CSR 활동 기업태도에 호의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자기감시성이 높은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동시에,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에게는 높은 인지적 욕구를 유발하여 CSR 활동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기업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monitoring on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elf-monitoring and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was investigated, and it was empirically shown that th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consumer cognitive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 self-monito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meaning that higher l self-monitoring are associated with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Moreover, the impact of self-monitoring on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need for cognition. Specifically, for consumers with low self-monitoring, those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a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than those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On the other hand, for consumers with high self-monitoring, those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a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than those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This study verifies the hypothesis that consumers with high self-monitoring are more favorable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a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point that for consumers with low self-monitoring, increasing need for cognition can lead to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CSR activity compan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시장의 자기잠식 효과 분석
-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전환비용과 공급사슬 성과
- 커피전문점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장기 지향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 공유물류 네트워크에서의 허브(hub node)의 역할 및 기여도 산정에 대한 연구
- 공감과 과흥분성이 소비자의 단계별 분노과정에 미치는 보복소비에 대한 분석
-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있는 브랜드 액티비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셔터스톡 AI 디자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
- 베트남 소비자의 한류 콘텐츠 인식과 소비의 사회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상표출원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