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8
- 영문명
-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of Brand Activism on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ciprocity and Trus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ssue Involvement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박양희 서용구 김홍남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2호, 99~10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비에 있어 단순한 만족을 넘어 지속성 있는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는 자신만의 신념과 가치관으로 주체적이고 소신 있는 소비행위로 브랜드와의 결속력을 굳건히 하고 있다. 나아가 사회 전반적인 이슈에 대해 적극적인 행동을 과감히 드러내는 기업의 움직임을 지지하며 이에 기꺼이 동참하고자 한다. 이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대하는 태도와 방향이 과거와는 사뭇 다른 진보적인 관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호혜성과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와, 이슈 관여도의 조절효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지각된 브랜드 이슈 적합성, 지각된 메시지의 질은 호혜성 /신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지각된 메시지의 질은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침으로써 소비자가 지각하는 진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이슈 관여도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브랜드 액티비즘 활동에 있어 소비자의 가치, 의식의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적극적인 선행 작업이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Consumers who value sustainable values beyond simple satisfaction in consumption are strengthening their solidarity with brands through independent and confident consumption activities based on their own beliefs and values. Furthermore, we support and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of companies that boldly reveal active actions on overall social issues. This suggests that the attitude and direction of consumers toward brands is changing to a progressive perspective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ast.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reciprocity and brand trus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ssue involvement in the path where consumers' perception of brand activism affects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brand cause fit and the perceived argument quality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reciprocity/trust. In particular, perceived argument quality has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suggesting that authenticity perceived by consumer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ssue involvement indicates the focus of consumer value and consciousness in brand activism activities. It suggests that active prior work on where this is located should be prioritized above all els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모형
IV. 연구방법
V. 실증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시장의 자기잠식 효과 분석
-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전환비용과 공급사슬 성과
- 커피전문점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장기 지향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 공유물류 네트워크에서의 허브(hub node)의 역할 및 기여도 산정에 대한 연구
- 공감과 과흥분성이 소비자의 단계별 분노과정에 미치는 보복소비에 대한 분석
-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있는 브랜드 액티비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셔터스톡 AI 디자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
- 베트남 소비자의 한류 콘텐츠 인식과 소비의 사회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상표출원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