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fluencer Concepts on Consumer Outcomes: Prestige vs. Mass Concept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박찬수 이상아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2호,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의 연구들은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상품들이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부합될 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소비자들이 해당 상품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 높은 구매 의도를 표현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인플루언서가 자신의 전문 분야와 적합성이 낮은 상품을 추천해야 하는 경우, 어떻게 하면 부정적인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갭을 메우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인플루언서가 자신의 전문 분야와 유사성이 낮은 상품을 추천할 때,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고급 vs. 대중적)가 소비자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를 어떤 변수가 매개하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급 컨셉트의 패션 인플루언서와 대중적인 컨셉트의 패션 인플루언서를 타겟 인플루언서로, 그리고 빙수(쾌락재)와 유산균(실용재)를 각각 타겟 상품으로 설정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응답자의 반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발견하지 못했으나, 빙수(쾌락재)의 경우에는, 고급 컨셉트의 인플루언서의 상품 추천이 응답자들로 하여금 해당 상품에 대해서 고급스러움을 지각하게 하고, 이것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태도를 높이는 간접적인 효과를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Extant literature reports that influencers can get more favorable responses from their followers when they recommend products that have high fit with their expertise.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influencers can mitigate followers’ less than positive responses when they recommend products that have low fit with their expertise.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offer an answer. We explored if influencers with prestige concept (vs. functional concept) could get more positive responses when then recommend products with low fit with their expertise and what would mediate the effect.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with fashion influencers as target influencers and shaved ice (hedonic goods) and lactobacillus (utilitarian goods) as target products, respectively. We found no direct effects of the prestige concept. Howe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hedonic goods influencers with prestige concept could expect the followers to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s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because they form perceived prestige toward the recommended product that falls outside their area of expertis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문제 설정
III. 연구방법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시장의 자기잠식 효과 분석
-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전환비용과 공급사슬 성과
- 커피전문점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장기 지향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 공유물류 네트워크에서의 허브(hub node)의 역할 및 기여도 산정에 대한 연구
- 공감과 과흥분성이 소비자의 단계별 분노과정에 미치는 보복소비에 대한 분석
-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있는 브랜드 액티비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셔터스톡 AI 디자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
- 베트남 소비자의 한류 콘텐츠 인식과 소비의 사회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상표출원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