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이용수 162
- 영문명
- K-Entrepreneurship’s 5 Major Corporate Culture Codes: Focusing on Cases of Uniqueness and Dynamic Cap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기찬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2호, 17~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업가 정신은 '정신'이다. 기업가정신은 기회를 포착하고자 하는 열정과 도전정신이다. 기회포착에 대한 도전정신이 없는 조직문화에서 경제가 발전하기 어렵다. 경제는 정신이라고 하는 이유이다. K-기업가정신의 성공을 만들어준 기업문화코드는 5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K-기업가정신은 ‘기업은 사람이다’의 기업문화코드를 가지고 있다. 서양의 기업가정신에서는 혁신과 성과에 많은 관심이 가졌지만, 이것을 가능케하는 사람과 직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약하였다. 둘째, K-기업가정신의 두 번째 기업문화코드는 빠른 기회포착력이다. 빨리 빨리(Pali-Pali)가 만드는 빠른 기회포착력이다. 다만 미국형 기회포착은 창조형 선도형이었다면 한국의 기회포착은 추격형 기회포착이었다. 셋째, K-기업가정신의 세번째 기업문화코드는 하이로드기업에서 나오는 파이팅문화가 만드는 팀워크와 도전이다. 한국 기업가들은 이타적 기업목적을 가진 하이로드기업이었다. K-기업가정신은 이기심과 이타심의 통합 정신으로 팀워크를 만들었다면, 유럽이나 미국의 기업가정신은 이기심을 기반으로 경쟁을 추구하는 기업가정신이었다. 넷째,K-기업가정신의 네번째 기업문화코드는 본 글로벌 정신이다. 한국의 K-기업가정신은 창업초기부터 해외로 열려 있었다. 한국의 기업가들은 창업 초기 부터 해외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Born-Global)특성을 가지고 있다. K-기업들은 해외사업을 우선하며 해외에서 외화를 벌어들였다. 다섯째, K-기업가정신의 다섯번째 기업문화코드는 K-기업가정신은 미래를 읽고 빠르게 업을 피봇팅해가는 동적전환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K-기업가정신의 업의 피봇팅력이다. 이러한 특징은 서양이나 일본 등 다른 나라 기업가 정신과는 다른 한국의 고유한 K-기업가정신이다. 이러한 5가지 요소는 K기업가정신의 뿌리로서 남명 조식의 ’시거이용현(尸居而龍見-때가 되면 용처럼 나타나라)와 연묵이뢰성(淵默而雷聲:때가 되면 큰 소리칠 수 있도록 조용히 수련하라)에서 가르치는 ‘기회’와 ‘사람육성’이 K기업의 문화코드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Entrepreneurship is about a 'spirit'. Entrepreneurship is the challenging spirit to take opportunities. It is difficult for the economy to develop in an organizational culture without these spirit. This is why the economy is called the spirit. This study examines why K-companies in Korea innovate and grow quickly and theorizes the success formula of K-entrepreneurship as an engine that creates innovation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K-entrepreneurship are rooted in human resources and characterized by an altruistic business purpose, pay-it-forward spirit, and dynamic capabilities for pivoting. These attributes have been driving rapid growth and innovation for Korean companies. Successful K-companies prioritize overseas business, quickly take opportunities, and foster a fighting corporate culture that challenges with creative ideas and teamwork. These corporate culture code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points: Human Capital, Altruistic High Road Spirit with Teamwork and Fighting Culture, Challenge Culture with Pali-Pali, Born Global Spirit, and Dynamic Capability for Pivoting. It is hoped that K-entrepreneurship will help overcome the current economic crisis and become a growth engine for future generations.First, No.1 corporate culture code of K-entrepreneurship is 'a company is made by people'. In Western entrepreneurship, people and employees are relatively less interested. Second, No. 2 corporate culture code of K-entrepreneurship is the ability to quickly take opportunities created by 'Pali-Pali'.Third, No. 3 corporate culture code of K-entrepreneurship is the teamwork and challenge created by the fighting sprits. Fourth, No. 4 corporate culture code of K-entrepreneurship is a born global spirit. Korean entrepreneurs have born-global characteristics, targeting overseas market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business.Fifth, No. 5 corporate culture code of K-entrepreneurship is the dynamic capability to read the future and quickly pivot business.This characteristic is Korea's unique K-entrepreneurship,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ntrepreneurship of other countries such as the West or Japan.
목차
I. 들어가면서: 해외에서 주목받는 K-기업가 정신
II. 산업자본주의 태동기 K-기업의 특성: 하이로드형 기업목적과 빠른 동적전환능력
III. K-기업가정신과 고유성 및 보편성: 다른 나라 기업가 정신과의 차이점으로 5대 기업문화코드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 상품의 무역경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시장의 자기잠식 효과 분석
-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 웹 기반 XR 플랫폼 속 브랜드 체험이 집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떤 소비자가 CSR 활동 기업에 대해 호의적일까?
- 브랜드 액티비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미래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전환비용과 공급사슬 성과
- 커피전문점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장기 지향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정보적 수확 체증
- 공유물류 네트워크에서의 허브(hub node)의 역할 및 기여도 산정에 대한 연구
- 공감과 과흥분성이 소비자의 단계별 분노과정에 미치는 보복소비에 대한 분석
-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있는 브랜드 액티비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셔터스톡 AI 디자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
- 베트남 소비자의 한류 콘텐츠 인식과 소비의 사회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상표출원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등학교 융합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성과
- 인플루언서의 컨셉트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