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의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차이
이용수 74
- 영문명
-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village learning curriculum between general and innovative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권다남(DaNam Kwon) 김대현(Daehyun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5 No.2, 855~8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의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지역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총 8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영역별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평균 분석, 교차 분석, t 검증 등을 통해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필요성, 운영 원리, 내용 및 방법, 저해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 대해 모든 문항에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원리에서는 9문항 모두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서도 모든 문항에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저해요인에 대해서는 교사의 관심 및 이해 부족, 학교 관리자의 지원부족, 학부모의 반대, 활용가능한 시설 부족을 제외한 나머지 5문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village learning curriculum between teachers of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0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B area, and the necessity, operation principle, content, and method of village learning curriculum recognized by general and innovative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verage analysis, cross analysis, and t ver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in all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Second, in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all nine ques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in all questions about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Last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maining five questions except for the lack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lack of support from school managers, opposition from parents, and lack of available fac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focusing on ways to improve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derived.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학습 기반 LDA 모형을 이용한 이미지 주석 군집화에 대한 연구
- BK21 사업단의 연구 성과물에 대한 서울과 지방대학 비교 분석
- 민영화와 효율성
-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 직무도전성이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효율적인 물류 운송 배차를 위한 최적 프로세스 연구
- 공간자료에 대한 통계적 위험 경계선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의 수요특성에 대한 연구
- CNN 기반 주간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격자 단위 인구추정
- 앙상블 비모수적 변수 선택 방법
- 경영컨설턴트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면적속도 기반 DTW를 이용한 이탈 항적 탐지
- 시험불안, 사회불안이 간호대학생의 섭식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민영치매보험의 현물급부에 대한 이용 및 이용 의향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PIN 추정을 위한 최적모형에 관한 연구
- 증권산업의 NCR제도 개정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 연속적 간격법의 타당성
- 비정규직의 일자리 이동성 분석
- 정보전이지수를 이용한 원자재가격과 산업별 주식수익률의 연계성에 대한 Covid-19과 러우전쟁의 영향 분석
- 태풍에 따른 기상요소와 사과의 낙과 피해율 분석
- 코스닥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 위험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보조재생함수의 근사
- 미세먼지의 야외 여가활동 수요에 대한 효과
- 기술분석보고서 발간이 주가급락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금융 분야의 범주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성과 최적화 기반의 부스팅 학습
-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적응형 학습경로 생성에 관한 연구
- 한국 가계부채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결핵 치료 중 사망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영구적·일시적 현금흐름 뉴스와 할인율 뉴스에 따른 모멘텀 수익률 분석
-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의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차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2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