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중점학교 성과 분석 연구
이용수 106
- 영문명
- Outcome Analysis of Arts-Specialized School Program: A Survey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연 김두이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2號, 240~268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술중점학교의 운영 현황 및 성과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담당 교사 34명, 학생 244명, 학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 구성원의 사업 취지 및 목표 인식, 협력 정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담당 교사 업무의 과중함으로 추가인력지원, 행정지원 등의 요구가 있었다. 예산의 경우 인건비와 교구 및 기자재비가 가장 높은 비율로 편성되고 있었으며 예산의 자율성 보장과 가이드라인 제공에 대한 요청이 있었다. 예술 중점학급의 예술 교과 시수는 일반학급에 비해 많았으며 특성화 프로그램 또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는 참여 학생의 발달 성과에 대하여 9개 항목으로 나누어 설문하였으며 대부분의 항목에서 90% 이상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고 학생들의 진로, 진학에 있어서도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예술중점학교 만족도와 전반적 만족도로 나누어 설문하였으며 사교육 감소 정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85%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사교육 감소 또한 66%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술중점학교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outcome of Arts-Specialized School Program as well a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responses from 34 schoolteachers, 244 students, and 200 parents. The result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from the school members regarding program’s purpose, goals, and level of cooperat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raised voices on their needs for both additional manpower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heavy workloads. In terms of budget, payrolls, teaching aids, and equipment took the highest portion. There were also requests on securing budget autonomy and providing guidelines. The number of hours for art subjects in the art specialized clas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classes. It was also found that specialization programs were actively executed. In the survey, there were nine items asking for participating students’ developmental milestones. Over 90% of the items showed positive responses, and the result also demonstrated high level of outcome in areas of students’ career and academic advancements. Lastly,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ject was surveyed in two parts - on art specialized school program and overall. Except for reduction in private education, which remained positive with 66%, the survey showed over 85% of satisfaction rat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실천적 방향 탐색 기초 연구
- 학습만화 제작을 통한 미술 작품 감상 방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디자인 수업 개발
- 「세한도(歲寒圖)」가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성장과 역량에 관한 연구
- 예술중점학교 성과 분석 연구
-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역량과 기준 탐색
- 비조법(飛鳥法) 교육을 통한 도자공예의 혁신
- IB MYP의 ATL 기능과 미술 교과 역량교육에 관한 고찰
-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