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성장과 역량에 관한 연구
이용수 376
- 영문명
- A Study on the Growth and 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Mentoring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연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2號, 20~50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경험의 의미와 성장 및 멘토에게 필요한 역량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멘토로 참여한 경험이 1년 이상인 멘토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상위범주와 1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미술 멘토링 경험의 의미’의 하위범주는 ‘다양한 연령대와의 소통’, ‘인드라망 - 공생하는 관계’, ‘together의 의미’, ‘희망적인 미래를 꿈꾸기’, ‘자존감 상승을 통한 슬럼프 극복’, ‘자신의 꿈을 되돌아보는 계기’였다. 두 번째 범주 ‘미술 멘토링을 통해 멘토가 경험한 성장’의 하위범주는 ‘자기 객관화’, ‘준비된 사람으로 나아감’, ‘자신을 대하는 태도의 성숙’, ‘문제의 구체적 접근을 통한 발전’, ‘멘티에게 귀감이 되기 위한 노력’이었다. 마지막 범주 ‘미술 멘토링에서 멘토에게 필요한 역량’의 하위범주는 ‘미술에 대한 시야의 확장’, ‘미술을 하는 사람임을 상기시키는 태도’, ‘아니다라고 말하지 않고 멘티와 함께 찾아나가는 태도’, ‘정답이 없는 문제에 대해 여러 방향성을 제시하는 태도’, ‘공감 능력’, ‘경청 능력, ‘근거 있는 피드백 제공’, ‘맞춤형 멘토’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으로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의 차별성 강화’, ‘멘토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멘토 교류 활성화’, ‘실시간 쌍방향 소통 활성화’, ‘멘토-멘티 및 멘티들 간의 만남의 기회 제공’, ‘멘토 전문성 활용’, ‘멘티에 적합한 멘토 선발과 결연’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meaning of experiences, growth and 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mentoring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3 categories and 19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sub-categories of ‘meaning of art mentoring experience’ were ‘communication with various age groups’, ‘Indra’s net - symbiotic relationships’, ‘meaning of together’, ‘dreaming of a hopeful future’, ‘overcoming slumps through increased self-esteem’, and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one’s dream’. The sub-categories of ‘growth experienced by mentors through art mentoring’ were ‘self-objectification’, ‘getting better as a prepared person’, ‘maturing of one's attitude toward oneself’, ‘development through specific approaches to problems’, and ‘efforts to be a role model for mentees’. The sub-categories of ‘competencies required of mentors in art mentoring’ were ‘expansion of mentees’ perspective on art’, ‘reminding that mentees are artists’, ‘an attitude of finding answers together with mentees without saying no’, ‘giving various directions to problems with no answers’, ‘empathetic ability’, ‘listening ability’, ‘providing grounded feedbacks’, and ‘mentee-customized mentor’. As a way to improve the art mentoring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6 suggestions were derived: ‘reinforcement of art mentoring program differentiation strategy’, ‘development of mentor competency programs and vitalization of mentor exchange’, ‘activ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eeting between mentor-mentee and among mentees’, ‘utilizing mentor’s expertise’, and ‘selecting and connecting with mentors suitable for mente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실천적 방향 탐색 기초 연구
- 학습만화 제작을 통한 미술 작품 감상 방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디자인 수업 개발
- 「세한도(歲寒圖)」가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성장과 역량에 관한 연구
- 예술중점학교 성과 분석 연구
-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역량과 기준 탐색
- 비조법(飛鳥法) 교육을 통한 도자공예의 혁신
- IB MYP의 ATL 기능과 미술 교과 역량교육에 관한 고찰
-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