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8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Using René Magritte’s Art Work Techniques on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은주 손지현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2號,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을 개발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사례이다. 연구자는 일상의 사물을 오브제로 사용하고 데페이즈망 기법이 활용된 마그리트 작품을 선정하여 미술 활동을 구상하였다. 마그리트의 작품 제작과정에서 볼 수 있는 사색적 드로잉은 창의적 사고 과정을 보여주며 오브제의 탐구는 일상의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게 한다. 데페이즈망 기법은 다양한 창의적 발상을 생성한다.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 결과 창의성 요소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하여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art activities using René Magritte’s art work technique on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s develop art activities for students to improve creativity by selecting art of René Magritte, which focusing on ordinary objects and applied with Hybridization and Modification of dépaysement techniques. The speculative drawing style which is shown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René Magritte's art work technique represent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Moreover, the study of objects make students free from the boundaries of thinking about ordinary objects. And dépaysement technique helps students to generate a diverse range of creative ideas. Using a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s find that art activities using René Magritte’s art work techniqu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mponent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in art education literature by using a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id art activities using René Magritte’s art work technique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마그리트 작품을 활용한 미술 활동 개발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실천적 방향 탐색 기초 연구
- 학습만화 제작을 통한 미술 작품 감상 방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디자인 수업 개발
- 「세한도(歲寒圖)」가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성장과 역량에 관한 연구
- 예술중점학교 성과 분석 연구
-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역량과 기준 탐색
- 비조법(飛鳥法) 교육을 통한 도자공예의 혁신
- IB MYP의 ATL 기능과 미술 교과 역량교육에 관한 고찰
-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