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411
- 영문명
- Narrative Inquiry of Identity Formation of School Teaching Artis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정화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2號, 101~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질문은 예술전문가에서 예술교육자가 된 연구자의 성찰에서 도출되었고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강사는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하는가? 둘째, 예술강사 되어가기가 미술교육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네명과 2018년 6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총 여섯차레 심층면담을 거쳤다. 현장 텍스트는 입직경험, 학교의지지, 고용과 제도, 전문성 신장이라는 네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연구자는 이것을 시간성, 장소성, 사회성의 3차원적 내러티브 안에서 연구 텍스트로 구성했다. 내러티브 탐구 연구 텍스트는 다시 마샤(Marcia)의 정체성 지위이론의 시각에서 재조명됐다. 네명의 예술강사들은 정체성 지위가 약한 유예와 유실의 단계였다. 그러나 제도적 보호아래 스스로 전문성 신장 기회를 탐색할 수 있었던 참여자들은 성취의 정체성 지위를 얻었다. 한편, 제도권 밖의 예술강사였던 연구참여자는 고용 기회보장이 어려웠고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얻을 수 없어서 유예의 지위에 머물렀다. 예술강사가 되는 과정중에서 학교의 관심과 무관심, 고용과 제도와 같은 문제들을 학교와 예술강사 사이의 상호존중, 전문성 신장, 예술강사들의 교육협의체, 공동 전시를 통해 극복하는 과정을 주었다. 한편, 예술강사를 포기하고 유예의 지위에 머문 사례를 통해 성취 지위의 예술강사가 되기 위해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question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reflection of a researcher who became an art educator from an art expert. First, how does a teaching artist form an identity? Secon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becoming a teaching artist for art education? The researcher had a total of six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tudy participants from June 2018 to April 2021. Field tex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job placement experience, school support, employment and syste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composed this as a research text within the three-dimensional landscape of narrative inquiry; temporality, placeness, and sociality.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text was again illum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cia's identity status theory. The four teaching artists were in the stage of identity foreclosure and identity moratorium status. However, participants who were able to explor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ir own under institutional protection obtained the status of identity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a research participant who were outside of the system were not able to secur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ould not get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so the one stayed in the identity moratorium statu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teaching artist, it show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problems of school interest and indifference, employment and system through mutual respect between the school and teaching artist, enhancing professionalism, and joining educational consultative group of art teaching artist and joint exhibitions. It emphasizes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o maintain teaching artist profession through the case of giving up teaching artist position.
목차
Ⅰ. 서론
Ⅱ. 학교예술강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Ⅲ. 연구 방법과 절차
Ⅳ. 학교예술강사 되어가기
Ⅴ. 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과 그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실천적 방향 탐색 기초 연구
- 학습만화 제작을 통한 미술 작품 감상 방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디자인 수업 개발
- 「세한도(歲寒圖)」가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성장과 역량에 관한 연구
- 예술중점학교 성과 분석 연구
-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역량과 기준 탐색
- 비조법(飛鳥法) 교육을 통한 도자공예의 혁신
- IB MYP의 ATL 기능과 미술 교과 역량교육에 관한 고찰
-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