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5
- 영문명
- The Interplay between Text and Images: From the introduction of text in images to text becoming the central idea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장수임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2號, 150~16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 대상을 재현하고자 하는 미술의 전통이 철저히 부정되고, 타 장르와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새롭게 시도되었던 조형요소들 중 하나인 문자가 입체주의부터 다다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치며 미술 전반에 자리하게 된 것을 고찰한 것이다. 입체주의가 재현을 위한 조형적 요소로 문자를 사용하였던 반면, 다다와 초현실주의는 언어의 유희나 그림 이미지를 병치함으로써 상호 관계를 형성하는 혁신적인 작업을 완성하였다. 이는 문자가 상징적 기호로서 대상과 의미적, 논리적 연관성을 없이 각 사회나 문화마다 서로 상이한 상관관계를 만들어내는 특성에 대한 이해로 나타난 것이다. 팝아트에서는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통속적인 이미지와 언어로 일상과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대중문화의 상투성을 강조하고, 단순화하여 반복하는 방식은 예술을 대중화로 이끌었다. 반면, 상업화되어 가는 미술과 동시대의 형식주의에 대한 반발로 대두된 개념미술은 아이디어 자체가 작품이 되는 극도의 비물질성을 추구하며, 다양한 방식을 활용한 메시지의 전달로 대중과 소통하였다. 개념미술을 비롯한 다원주의의 지나친 비물질성은 물성의 감성을 다시금 불러오게 되고,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서 차용과 도용, 풍자 등의 표현방식으로 나타나는 문자는 지속적으로 시대와 상황을 넘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영문 초록
Since the 20th century, the tradition of art that seeks to reproduce objects has been thoroughly denied, and as the boundaries with other genres have been broken down, new attempts have been made by exploring various formative elements. Whereas Cubism used text as a formative element for representation, DADA and Surrealism completed innovative work that forms a mutual relationship by juxtaposing the play of language or pictorial images. In Pop Art, mass media were used to combine popular images and language with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Conceptual Art pursues the extreme immateriality of the idea itself becoming a work of 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by delivering messages using various methods. In today's Post-Modern Art, characters are continuously giving new meanings.
목차
Ⅰ. 서론
Ⅱ. 새로운 시각
Ⅲ. 미술로서의 아이디어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실천적 방향 탐색 기초 연구
- 학습만화 제작을 통한 미술 작품 감상 방안 연구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디자인 수업 개발
- 「세한도(歲寒圖)」가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대학원생 멘토의 성장과 역량에 관한 연구
- 예술중점학교 성과 분석 연구
-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역량과 기준 탐색
- 비조법(飛鳥法) 교육을 통한 도자공예의 혁신
- IB MYP의 ATL 기능과 미술 교과 역량교육에 관한 고찰
- 마그리트 작품 기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