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安東煥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73집, 453~4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上海城隍庙是一座有六百余年历史的道教宫观。明代永乐年间(1403-1424),当时的上海知县张守约将上海城内供奉霍光的金山神祠改建为上海城隍庙,供奉上海城隍秦裕伯。從此有了前殿爲霍、后殿爲秦, 一庙二城隍的說法。 今天的上海城隍庙的結構如下; 1. 前院前后,有照壁、山門、儀門和戱臺。 2. 中院左右的廂房,有三官殿、慈航殿、客堂、月老殿、財神殿、祈福堂。 3. 大殿周圍,有大殿(霍光殿)、太歲殿、祖師殿。 4. 后院左右,有關聖殿、文昌殿、城隍殿(就是秦裕伯殿, 包括娘娘殿和父母殿)。 上海城隍庙在結構方面的特色如下; 1. 像皇宮和官衙一樣把城隍殿、大殿、儀門和山門爲中心轴的左右對稱形式。 2. 慈航殿內供奉的慈航大士、天后妈祖和眼光聖母都是女性神。 3. 戱臺是平常時使用经堂, 有廟會時才是用戱臺。 4. 殿里面的神像都是按照神的特性制作, 例如月老的姻缘簿、藥王的靑龍、財神的明刀錢和元寶、慈航大士的孩子、眼母的眼精、文昌的祿運簿、關帝的靑龍偃月刀、霍光城隍的文武判官和日夜巡、秦裕伯城隍的官印和令箭等。 5. 殿里面的主神神像是坐像, 左右的侍童或者護衛的塑像是立像。 6. 塑像和殿的位置是根據陰陽說和儒敎禮制的男左女右原則安排的, 例如山門和大殿前的石獅、娘娘殿和父母殿的位置、父母殿內父母的位置等。 按照屋顶形式的特徵如下; 1. 歇山頂式: 有含着屋脊的龍頭, 也有雜像。山門、儀門和大殿就是這樣的樣式。可山門和儀門是混合型的, 就是前面的歇山頂式和后面的硬山頂式。 2. 硬山頂式: 再可以分爲三類(1) 城隍殿: 有含着屋脊的龍頭, 可沒有雜像。 (2) 前院和中院左右的廂房: 有龍頭, 可不含着屋脊, 向着南北方向。但沒有雜像。 (3) 文昌殿和關聖殿: 沒有龍頭也沒有雜像。
영문 초록
목차
Ⅰ. 緖言
Ⅱ. 上海城隍廟연혁
Ⅲ. 上海城隍廟의 구조적 특징
Ⅳ. 結語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一廟二城隍: 上海城隍廟의 구조적 특징
- 后殖民主义视角下的上海想像: 以≪点石斋画报≫为中心
- 『붉은 수수밭(紅高粱)』의 영상 미학과 담론
- 『歐蘇手簡』의 蘇東坡黃州時期手簡硏究
- 위앤커지아(袁可嘉)의 시와 시론 연구
- 근대 중국 탐정소설(偵探小說)의 대중성과 정전(正典)에 대한 도전
- 호응린과 왕사정의 시가창작이론 同異고찰
- 《韓非子》 寓言을 통해서 본 修辭學的 글쓰기 전략
- 幼儿汉语学习过程中游戏化教学研究: 以梦之果实幼儿园为例
- 텍스트언어학의 주제전개방식과 중한번역
- 한중 돈 관련 속담에 나타난 은유의 인지적 분석
- 《洪武正韻》에 수록된 音變構詞에 관한 釋義用例小考
- 漢、韓慣用語之跨文化漢語教學設計及策略
- 현대중국어 부가의문문의 화행 기능과 의사소통 효과
- 싱가포르 화인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
- 중국인 강사를 활용한 교양중국어 팀티칭 수업 방안
- 《老子》의 否定詞用法考察
- 수준차가 다양한 중국어 수업을 위한 개별화 교육 사례연구
- 《太平廣記》所引《搜神記》異文比較研究
- 中國人文學會會則 외
- 중국인문과학 제73집 목차
- 科幻小说的本体性知识:类型、要素与边界
- 沈从文的1949年起文学的政治性与暴力实感经验研究: 沈从文的两种殊异的绝境之实感经验的“暴力”层面比较
- “一带一路”背景下的滇藏沿边国家恐怖主义风险标识和发展趋势: 基于GTD数据和GTI指数的ArcGIS标识和Excel趋势外推分析法
- 语言类型学视阈下的汉英转折类话语标记研究
- 幫权结構下的华人社团: 以马来西亞文冬华人大会堂为例
- 노자의 수사학(1)
- 論《語言自邇集⦁異讀字音表》的形成過程
- 汉语国际推广中教师素质提升:问题与对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