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Idle Space on the Expressway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정윤천(Jung, YoonChun) 민병욱(Min, ByoungWook)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103~11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탈산업화 사회에서는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의 영향력이토지 이용에 대한 공익과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면서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통 기반 시설과 관련한 유휴지개발은 토지의 의미 있는 이용과 공간의 효율적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의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럽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국제 사례연구를 통해 고속도로에서의유휴공간 활용유형과 향후 관행에 대한 교훈을 위치와시설의 맥락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22개의국내 및 유럽 사례를 조사한 결과, 고속도로에서 유휴공간을 활용 한 사례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이용, 생태산림 개발 계획, 휴면 지역의 복합 개발 및 다차원 개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 모두는 기존의 단일 차원 토지 이용을 넘어 현대 사회 및문화적 필요를 반영하는 다기능의 개념을 포함한다. 본연구는 전통적으로 공간과 관련된 분야인 도시, 건축, 토목, 조경뿐만 아니라 과학과 문화를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의 협업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In the post-industrialization society, the influence of the new development paradigm has been increasing in pursuit of public interest and economic efficiency in the utilization of the land.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idle land related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getting more attention in terms of meaningful use of the land and recycling space efficiently.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made to discover the possibilities of sustainable land use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how to classify types of utilization of idle space on the highway and the lessons for the future practice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location and facilities through an international case study particularly on European and Korean examples. As a result of surveying 22 domestic and European cases, the cases of utilizing idle space on highway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ecological forest development plan, combined development of rest area, and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All of these types involve the idea of multi-functionality that reflects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needs beyond the existing single-dimensional land use.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tween diverse fields such as ecology, energy, culture, and art is essential as well as construction related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