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이용수 38
- 영문명
- Form Study of Autonomous Vehicle Steering Wheel for Increase Control Reliability ╶ Focused on Steering Spoke and Button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경호(Kim, Kyung Ho) 김선철(Kim, Sun Chul)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60~6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대중화에 흐름 속에서 “과연 조향 장치들이 잔존 할 것인가?”라는 의문을 가지는 것에서 시작 하였다.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비상시운전자가 대처하기 위해 잔존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고, 향후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비상시 신속하고, 신뢰감 있는 조작이 가능한 형태와 기능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신뢰도가 높은 조작이 가능하도록 형태적 발전을 하기 위해서 핸들의 크기와 개별적인 버튼의 종류, 배치 위치에 따른 선호도 설문조사와 실험으로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상시 운전자가 신속한 조작이 가능한 형태를 이루는 핵심 요소를 추출하였다. 운전자는 흔히 ‘보수적인 성격’을 가지는 디자인요소로부터 높은 신뢰도의 느낌을 받았다. 또한 핸들을구성하는 스포크의 수는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았으며, 핸들의 버튼은 물리적인 원터치 버튼이 가장 높은 선호도와 신뢰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핸들을 통하여 운전자가 높은 신뢰도를 느끼기 위해서는 4개의 스포크로 단단하게 스티어링 휠이 고정됨을 전달하고, 운전자가 조작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물리적 버튼과 같은 개별적요소로 형태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If steering module will keep in Autonomous cars popularization?'. After 'Desk research' and 'Case study' I found that the steering module will keep for emergency state. And I set the hypothesis the future steering wheel will be change to the form for high reliable control. For high reliable control form, I collect data about the size of steering wheel, type of buttons and preference of button location. By this data I extract the main elements of high reliable control form. From the data, drivers gave the reliability from 'conservative design'. Also the more number of the steering wheel's spoke and 'physical one-touch button' gives higher reliability.
Finally for high reliable steering wheel control, steering wheel will has 4 spoke structure and physical one-touch butt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