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sing Video Media in Modern Fashion Shows Based on the Media Theory by Marshall Mcluha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채영(Lee, Chai You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21~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디지털화된 기술의 발전과 함께 패션계에서의 영상 매체 활용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매체가 상호 소통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했을 때, 디지털 영상매체는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 시켰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특히, 디지털화 된 다양한 영상매체는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정보 전달의 매개이자 소통방식으로 기술적 발전과 함께 패션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 패션쇼에서도 영상매체를 메시지 전달 및 무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론가 Marshall Mcluhan의 연구를 바탕으로 영상 매체가 가지는 기술 및 사회적 의미에관해 고찰하고, 2000년 이후 패션쇼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에 따라디자이너 및 브랜드와 소비자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고찰한 결과 영상매체의 활용은 높은 시각적 관심을 끌고 전달력을 확장시켰으며, 관람객의 감각의 확장, 디자이너의 표현 범위의 확장, 새로운 채널을통해 소비자들과 즉각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확장적 기능을 가져왔다.
영문 초록
Today,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ized technology, great importance is being attached to video media in fashion field. When defining media as a method for communication, particularly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s that digital video media activated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digitalized visual media as a medium for conveying information and as a communicative method while getting the spotlight globally alo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Contemporary fashion shows are also actively using visual media to deliver messages and maximize stage effects. This article examined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meanings of visual media based on the media theorist Marshall McLuhan's research and conducted a case study for fashion shows that have been held since 2000.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tensive functions in the relationships among designers, brands and consumers according to visual media implemented in fashion shows, it was shown that the utilization of visual media resulted in the extension of communicability with higher visual interest, sensory extension for the audience, expressive extension for designers and extension of immediat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new channe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