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Headgear of Kushan Empir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장영수(Chang, Young Soo)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30~4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대 문명교류로인 실크로드의 중심에서 동서양 문명교류의 가교적 역할을 감당하며 인류 문명에 크게 공헌한 쿠샨왕조의 문명연구이다. 실크로드 연구는고대 인류문명의 연구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우리나라에서의 실크로드 연구는 실크로드 동쪽의 연구에 치중해있고 실크로드 서쪽 지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어서 실크로드 문명의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크로드 서쪽 문명에 대한 연구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까지 실크로드의 중심에 있었던 쿠샨 왕조의 복식 중 머리쓰개의 분석을 통하여 실크로드의 삶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유물분석을 병행하였다. 유물 분석을 위해서는 쿠샨 왕조의 유적을 발굴한유럽의 고고학 연구소의 발굴 보고서와 전시카탈로그를직접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머리쓰개를유형별로 신분별로 분석하였고 분석한 머리쓰개에 나타난 외부적인 요소를 따로 정리하여 머리쓰개에 나타난다문화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다음과 같다.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의 유형에는 머리띠, 헬멧, 성곽형 왕관, 원통형, 원추형 머리쓰개, 둥근형 머리쓰개와 프리기안 모자 등이 있었으며 이 머리쓰개들은쿠샨 왕조의 시기, 지역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들이 약간씩 차이가 있었고 신분별로도 구분되었다. 또한 주변 문화의 영향에 따라 머리쓰개의 형태들은 달라지고 있었다.
머리띠, 헬멧 등은 왕조 초기 그리스의 영향으로 나타난머리쓰개였으며 성곽형 머리쓰개는 왕조 초기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머리쓰개였다. 원통형 머리쓰개와 원추형 머리쓰개 등은 인도 신들의 머리쓰개의 형상에서 변형된 형태로 주로 마투라 지역에서 왕이나 지배계급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of Silk Road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eadgear of the Kushan Dynasty which played a bridge role between East and West civilization exchanges at the center of Silk Road from 1st century BC to 2nd century AD.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study and artifact analysi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For the analysis of artifacts, the excavation reports and exhibition catalogs of the European archaeological research institute that unearthed the ruins of the Kushan dynasty were direct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headgea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es and typologies, the external factors appearing in the analyzed headgears were separately summarized, and the multi - cultural elements in the headgear were examin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eadgears of the Kushan dynasty included headbands, helmets, castle-shaped crown, cylindrical, conical headgears, round headgears and Phrygia hats. They are a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ynasties and regions, and was also identified by social status. Also, the shape of the headgears was changed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culture.
Headbands and helmets were the headgears influenced by the early Greek dynasties, and the castle-shaped crown were the headgears influenced by early Persian dynasties.
Cylindrical and conical headgears were transformed from the shape of head scarf of Indian gods and appeared mainly in king or dominant class in Mathura a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