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Urban Promenade Used for Urban Regeneration Mediated by Natural Lighting System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Mullae Art Villag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정태현(Chung, Tae Hyun) 김경환(Kim, Kyung Hwa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9~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 맥락으로 urban promenade 디자인개념을 정의하고,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울로7017’로 대표되는 도시재생사례와 외국의 관련 사례인미국 뉴욕의 ‘하이라인(High Line)’이나 ‘로우라인(Low Line)’을 조사해 그 현황을 밝혔다. 분석에 의해 도출된채광 문제를 기존 채광 시스템 사례를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urban promenade 개념의 디자인을 국내 임의선정 대상지인 문래동 예술 촌에 대입하여 디자인prototype을 제시한다. 해당 디자인 안은 도시재생 차원의 문래동 예술촌 커뮤니티 공간 개발뿐 아니라 유사 문화예술인 도시재생 공간 구조물로 응용할 수 있도록 유니트 모듈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생된 urban promenade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사례의 문제점과 채광문제의 연구내용, 조립식 유니트 구조체가향후 도시재생의 공간구조물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roposal of urban promenade design which follows the worldwid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issues. New York High line, Low line Park and the recent Seoullo 7017 project are the typical examples of the urban promenade. These Projects regenerated the abandoned Bridges or the Rail ways into the Park or so what we call 'urban promenade' where everyone can joy as a community space. However, by examining the cases mentioned, they show some problems on the lighting and accessibility issues. Through this study, there will be a solution concerning the problems that have been shown by the precedent cases.
By this process we will be able to study what 'urban promenade' is and the meaning it contai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