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Visual Merchandising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ed on Case Study of Korea Cosmetics Brand╶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임봄이(Lim, Bom Ei) 최명식(Choi, Myung Sik)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76~8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판매 사업 및유통환경 변화에 맞춰, VMD에 관해서 형태의 전환이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VMD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국내 화장품매장은 소비자를 끌어들이려는방안을 시도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요소를 적용한‘스마트매장’을 점차 선보이고 있다. 이에 국내 화장품매장에 적합한 4차 산업 기술과 공간 구성을 제안하고자한다. 현시점의 ‘스마트매장’은 현시점의 스마트매장은단발적인 흥미 위주의 요소만을 넣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에 소비자와 판매자가 합리적인 방안의 경제활동을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매장에 도입될 기술은 크게 소비자 중심의빅데이터와 2030 세대가 선호하는 무인 캐셔일 것으로판단하였다. 이 요소들을 가지고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매장을 선별하고 조사하여 빅데이터와 무인 캐셔가 들어설 때 공간 구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began with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new distribut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out Virtual and reality, analog and digital, online and offline, consumer can contribute to the economy anytime, anywhere. It is also possible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 consumers easily. Therefore in this study, I plan on presenting new directions to the Department of Store considering changes for up-to-date technology. Among them, I plan on targeting Korea's cosmetics market which responds sensitively to the trend. Korea’s cosmetics stores are attempting to attract consumers and are gradually introducing a smart store that uses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 am proposing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and spatial composition suitable for Korea’s cosmetics stor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