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Design of Bookstore ╶ Focused on Tsutaya Bookstor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윤희(Lee, Yoon Hee) 이동민(Lee, Dong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68~7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서 인구의 감소, 매출액의 감소 등으로 인해 출판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통한 도서소비의 비중 증가로 오프라인 서점은 급격하게 줄어들고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일본의 ‘츠타야 서점’에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서점 방문객의 욕구와 중요도를 파악한 후 향후 지속가능한 서점의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함께 사례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츠타야의 공간 경험에서 사용자-공간-매개물은 사용자경험 중심의 디자인을 훌륭히 구축되어져있다. 연구의시사점으로는 첫째, 독자적인 분류법을 사용, 서적과 관련된 상품을 함께 비치함으로써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좌석배치가 필요하며, 각 공간의 특성에 따라 좌석유형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간의 특성에따른 사용자의 니즈를 탐색해 봄으로써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blishing depression is continuing due to the decrease of the reading population, and sales. In addition, the number of offline bookstores is rapidly de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ook consumption through online. In this respect, present study explores needs and importance of bookstore customer at Daikanyama Tsutaya bookstore, and then seek implication for sustainable bookstore further.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case study together with theoretical review.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re are has been well built relationship among user, space and object in space experience for user experience oriented design. The implications are: First, using proprietary taxonomy, providing products related to books together to provide overall experience.
Second, the seat should be positioned according to the user's path, and the type of seat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hes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user's needs according to space characteristic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