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Public Mural of Diorama Technique Emphasizing Sympathy and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수홍(Kim, Soo Hong) 전명관(Jeon, Myeong Kwan) 김경환(Kim, Kyung Hwa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49~5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많은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살아간다. 옆집에사는 사람과 대면할 기회가 적다보니 얼굴조차 서로가모를 정도다. 이러한 이웃 간 무관심은 크나큰 사회적문제를 초래한다. 가족, 세대 간의 불통도 이와 같은 바쁜 일상과 무관심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배경에서 공공공간개발을 통한 주거지 ‘환경개선’과 주민의 ‘참여와 소통’이라는 두 축의 중요한 요소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연구는 특히 공공벽화미술을 통해 이웃 간 만남의 장이제공되고 서로가 공공예술 프로그램을 체험하고 경험함으로써 소통을 하고 연결되어 유대감을 갖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 벽화 미술과 함께 체험요소를 내포한디오라마 전시 기법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자 한다. 기존의 공공벽화미술에 나타나는 공간구성과 컨텐츠를 분석하여 과거경험의 추억 요소, 문화관광적 관심 요소, 가족 세대 간의 융화요소 및 발상의 이벤트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이에 디오라마 체험형 기법을 강화를 통해 관람객의 컨텐츠 이해도 상승과 새로운 공감, 소통의 공간을연구한다. 위의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새로운 공간의 프로토타입 파크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Many people now live in busy daily life. There is not much opportunity to meet the person living next door, so even the face does not know each other. This indifference between neighbors leads to a great social problem. Family and household disruption also arise from such busy routine and indifference. In this societal context, we will try to find ways to solve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two axes of 'improvement of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residents through development of public spac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municative meeting place among neighbors through public mural arts, to experience and experience each other 's public arts programs, and to have communication and bond. I would like to include contents of diorama exhibition technique including experience elements with public mural art.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existing public mural painting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he memorable elements of past experiences, cultural tourism interest elements, the integration elements of family generations, and eventual.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diorama experience-type techniqu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the visitor is elevated and the space of new sympathy and communication is studied. Based on the above basic researc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a prototype park of a new spa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