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1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Aesthetic Qualities Of Performance ╶ Focusing on Fischer-Lichte’s “An Aesthetics of the Performativ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백인경(Baik, In Kyu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1,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 양태들을 특징짓는 개념으로서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성’ 개념을 검토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퍼포먼스 연구가 하나의 분과로 독립하면서 그 학문적근간으로서의 예술적 행위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축소하고 있는 실정에서 비롯한다. 이에 본고는 ‘수행적인 것’ 에 대한 에리카 피셔-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연구에 주목하여, 행위 개념의 수행적 전환을 통해 퍼포먼스 체계의 양식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오스틴(J.L. Austin)과 버틀러(Judith Butler)의 이론은 각각 언어 행위와 신체 행위의 수행적 속성에 대한 관찰을바탕을 둔다. 피셔-리히테는 여기에서 나타나는 행위의특성을 자기지시적, 실제 구성적, 이분법의 불안정으로정의하고, 퍼포먼스가 언제나 수행적 행위의 성취로 발생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행위 개념의 전환은 퍼포먼스 체계를 참여자들의 신체적 공존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수행적 과정으로 이해하도록 이끈다. 퍼포먼스에서 구성원들은 언제나 행위 주체이자 동시에 지각 주체로 존재하며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퍼포먼스의 형성과 작동에 참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형성되는 퍼포먼스의 독특한 지각 환경은 공동의 경험을다시금 그러한 경험에 대한 반성적 경험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수행성에 대한 이해는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을 그것의 양식적 특성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파악하게 하는한편, 구성원들이 퍼포먼스의 수행적 형성 과정에 이바지함으로써 현재의 경험 사태에 대한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창출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 properties of ‘performance’ as a concept that characterizes various cultural modes of contemporary society. Currently, performance studies have become separated as a field and this has led to a reduction in research of performance as artistic act. Thus, this paper focuses on Fischer-Lichte’s research on ‘the performative’, and seeks to grasp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system through the performative turn in the concept of action. The theories of Austin and Butler are based on observations of performative properties in verbal action and bodily action, respectively. Fischer-Lichte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as self-referential, constitutive and collapsing dichotomy, and takes note of the fact that performance always occurs as an achievement of performative action. Such turn in the concept of action allows us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system as a performative process that takes place on the basis of participants’ bodily co-presence. The participants exist here as subjects of action as well as perception, and take part in the forming and functioning of performance while interacting. The unique perceptive environment of performance leads them to a reflective experience of that experience, encouraging them to recognize new values and meanings from the present situation of experienc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작 신뢰도 향상에 목표한 자율주행자동차 조향장치 형태 연구 ╶ 스포크와 버튼을 중심으로╶
- 쿠샨 왕조의 머리쓰개 연구
- 대학생을 타겟으로 한 겨울용 아우터 개발 연구 ╶ 롱 패딩 코트를 중심으로╶
- 퍼포먼스의 미적 특성 연구 ╶ 피셔-리히테의 ‘수행적인 것의 미학’을 중심으로╶
- 고속도로 인근 유휴부지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사례연구
- 자연채광을 매개로한 도시재생 Urban Promenade에 관한 연구 ╶ 문래 예술촌 적용 중심으로╶
- 마샬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쇼의 영상매체 활용 유형과 특성 연구
- 공감과 소통이 강조된 디오라마 기법의 공공 벽화 연구
- 구리시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품 하울 영상의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MD에 관한 연구 ╶ 국내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서점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츠타야 서점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1 목차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어글리 시크(Ugly Chic)에 관한 연구 ╶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