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청사 보안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용수 183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Government Buildings Security Organizations: Centered on the founding of the Government Buildings Special Judicial Police Uni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창규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1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 재개 등 지속적인 도발 위협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로 인한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와 더불어 국내 안보 분야의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시국에도 정부청사는 각종 보안사고 발생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보안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정부청사는 행정부 중앙행정기관의 대부분이 입주해 있는 국가 중요시설 ‘가’급(서울·과천·대전·세종)과 그 이외는 정부지방합동청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통령 세종 제2집무실 설치 검토와 정부지방합동청사의 추가적인 건립계획으로 정부청사 보안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비하여 보안조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청사 보안조직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안 수준의 향상과 효율적인 보안업무가 가능한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정부청사 보안조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부청사와 유사한 타 기관의 보안조직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정부청사 방호인력 중 방호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보안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청사 보안조직 문제점은 지휘권 비 일원화, 방호인력 구성, 보안 전문 부서의 부족, 방호직 공무원의 법적 권한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보안조직의 지휘 및 인사권한 일원화, 방호인력 간 업무의 명확한 구분 및 조직편성, 청사별 보안전문 부서의 확충, 방호직 공무원의 경찰관 직무집행법 등 법적 권한 적용 검토, 정부청사특별사법경찰대 창설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7가지 문제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가칭 ‘정부청사특별사법경찰대’라는 새로운 보안조직의 창설을 중심으로 제안하였으며, 해당 조직의 구성원과 조직도, 직무와 범위 등 조직에 구성되는 내용도 일정부분 함께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의 활용으로 정부청사 보안조직 개선으로 인한 보안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addition to the ongoing threat of provocations, such as North Korea's resumption of ballistic missile tests, and the chaotic international situation caused by the prolonged Russian invasion of Ukraine, anxiety in the field of domestic security is also rising. Even in these chaotic times, government offices are always exposed to various security incidents, so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security. The government buildings of the Republic of Korea consist of 'A'-class facilities (Seoul, Gwacheon, Daejeon, Sejong), where most of the administrative a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re located, and other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buildings.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building security is increasing due to additional construction plans for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but the security organization is insufficient in comparis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overnment building security organization, draw implic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so that an organization capable of improving security level and efficient security work can be formed.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government building security organizati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on the security organization of other organizations similar to the government building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security organization were targeted at the security officials among the government building protection personnel.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government building security organization were found to be non-unification of command authority, composition of protection personnel, lack of specialized security departments, and legal authority of public officials in defense positions. Clear division of duties and organizational organization, expansion of departments specializing in security for each building, review of application of legal authority such as the Act on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ials in Security Official, and establishment of a Special Judicial Police Unit at government buildings were suggested.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d the creation of a new security organization tentatively named 'Government Buildings Special Judicial Police Unit' as an improvement plan that can complement all 7 problems, and organized into organizations such as members and organization chart, duties and scope of the organization A portion of the content was also sugges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curity level by improving the security organization of government build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실태분석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선호 음식 및 소비 양상
-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도박문제의 관계
-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 원인 인식에 대한 요인구조 연구
- 소년연령의 기준에 관한 논의
-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비판적 사고 성향, 임상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 자율주행차 선호 좌석 및 착석 자세에 대한 연구
- 경찰기관 정보공개 처분의 실태와 시사점
- 정부청사 보안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실무자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피해경험
-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호관찰관의 지지와 준수사항 위반과의 관계
- 범죄경력자 및 가족 대상 가족심리지원사업 효과 분석
- 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실 안전 정보 활용이 기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 초보간호사의 간호실무준비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