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5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Capability Indicators for Improving Command Capabilities of Disaster Site Fire Command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손원배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1호, 181~20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재난대응 전 과정에서 독립적인 지휘권을 행사하는 소방지휘관의 지휘 능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적 이슈는 소방조직 내부와 언론 및 재난연구자에 의해 계속 문제 제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지휘관의 재난현장 지휘 능력 확보로 현장활동 소방공무원의 피해를 예방하고, 조기 재난 수습으로 피해확산을 방지하는 재난대응 작전의 전 과정에서 성공적인 지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 · 훈련 측면의 지휘 능력지표에 한정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지휘관의 핵심 지휘역량인 정보분석 · 상황판단 능력, 현장 상황판단 능력, 지휘 · 통제능력, 우발적 상황대처 능력, 자원관리 능력, 리더십, 관련 지식 숙지 등 7대 연구분석 지표를 설정하고 동일한 특정직 공무원조직인 소방과 해양경찰 및 경찰 교육기관에서 직무교육 과정에 설정지표가 반영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방의 현장지휘 단장인 소방령은 소방경에 비해 고도의 지휘능력을 요구받고 있지만 소방경과 동일하게 지휘 능력지표가 설정되었다. 특히 소방경과 소방령에 비해 지역긴급구조통제단장의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소방정은 전문지식습득, 우발적 상황대응, 정보분석 판단 등은 지휘 능력지표에 설정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은 해양경찰과 경찰에 비해 직휘역량 핵심 7대 지표의 교육과정 지표 반영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소방 현장지휘관 지휘 능력 핵심 7대 지표의 교육 방향성 제시가 해양경찰과 경찰에 비해 교육기관 직무교육 과정에서 지휘 역량지표로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방 현장지휘관의 지휘역량 강화를 위해 지휘능력개발 역량과 지휘 능력지표를 조속히 개발하고 재설정한 후 역량 요소를 세부적으로 설계하여 부족한 역량을 빠른 시간내에 수정 · 보완하여야 한다. 명확한 목표와 방향성 제시없이 이루어지는 교육 · 훈련은 조직에 부여된 임무를 수행할 수 없는 사상누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소방은 경찰의 직무교육 과정과 같이 비 간부 참여 과정에 소방 현장지휘관인 소방경에서 소방정까지 참여할 수 있는 과정을 개발하고, 예상치 못한 재난의 전개 상황을 대비 이론 위주의 교육 · 훈련을 피하고 재난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재난정보를 획득 및 분석 · 판단하는 등의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실전과 같은 체험 위주로 전면 전환할 것을 제언한다. 제언 실행 시 소방지휘관의 7대 지휘 능력지표에 대한 사전평가 후 평가결과를 반영한 지휘 능력지표 개발, 과정 수료 후 지휘 능력 검정 등의 과정을 운영하고 지휘 능력 성취도에 따라 계속하여 수정 ·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ritical issue of the lack of command ability of fire commanders who exercise independent command authority throughout the entire disaster process continues to be raised by firefighting organizations, the media, and disaster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cure the fire commander’s ability to command a disaster site to prevent damage to firefighters working in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limited to the command capability indicators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an demonstrate successful command in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response opera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through early disaster responnes. The research method sets seven major research and analysis indicators such as information analysis/situation judgment ability, on-site situation judgment ability, command/control ability, contingency response abilit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leadership, and knowledge of related knowledge, which are the core command competencies of commanders. We quantitatively analyzed whether the set indicators were reflected in the jop training process in firefighting, maritime police, and police training institutions, which are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s for specific posi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e department, the on-site commander of the fire department, is required to have a higher level of command ability than the fire brigade, but the same command ability index was set as that of the fire brigad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 the fire department, which is performing the important duties of the regional emergency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fire brigade and the fire department, acquisition of expertise, response to contingency situations, and information analysis judgment werw not even set in the command capability index, It was analyzed that firefighting had the lowest rate of reflection of the 7 key indicators of direct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compared to the Coast Guard and the police. In conclusion, compared to the maritime police and the police, the seven core indicators of the on-scene commander’s command ability in the fire service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in the reflection rate of the command competency indicators that suggest the direction of order to strengthen the command competency of firefighting field commanders, the command competency development competency and command capability index must be developed and reconfigured as soon as possible, and then the competency elements must be designed in detail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insufficient competenc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is because education and training without a clear goal and direction are nothing more than a building in that cannot carry out the mission assigned to the organizations. Firefighting develops a process in which non-executive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non-executive participation, such as the police job training process, and prepares for unexpected developments of disas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entire shift be centered on virtual reality actual experience, such as acquiring, analyzing, and judging scientific disaster information that can be done. when the proposal is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cess of conducting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fire commander’s 7 command ability indicators, develop a command ability index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and conduct a command ability test after completion of the course, and continue to revise and supplement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command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원배. (2023).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 181-200

MLA

손원배. "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3): 18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