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실무자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피해경험
이용수 502
- 영문명
- Adolescents’ experience of victim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ands-on workers who are supporting digital sexual crime: Focusing on Telegram and Discord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전혜경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1호, 47~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소년들의 디지털성범죄 피해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들 안에서 피해를 경험하고 있다. 그동안 아동 ·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연구는 실태조사,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해외사례 비교 연구, 가해자와 피해자를 중심으로 한 연구로 구분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아동 ·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의 실태를 통해서 향후 개선되어야 하는 법과 제도 개선에 대해 무게를 두고 연구가 되었고 디지털 성범죄에 이용되는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해지원 실무자 관점에서 본 청소년 피해사례를 통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피해를 경험하게 되는지 살펴보고 디지털 성범죄 피해영상물의 유포와 공유, 판매 등의 행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텔레그램과 디스코드의 문제점과 피해지원 분야별 개선점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된 국내 법률 및 연구문헌, 단행본 및 보고서, 각종 통계 · 조사 자료, 여성단체 등이 주관한 세미나 자료, 연구 보고서 등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미디어 매체 이용실태 및 피해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후 현장에서 청소년 피해자를 지원한 경험을 가진 피해지원 실무자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디지털성범죄 피해경험과 피해지원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해자들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고 대화가 가능한 플랫폼들을 이용해 친근하게 접근하여 피해영상물을 착취하는 온라인 그루밍 행위를 하였으며, 이후 취득한 피해영상물을 플랫폼에 유포하거나 판매한다. 이때 가해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랫폼이 텔레그램과 디스코드이며, 이 플랫폼들의 특성으로 인하여 피해자를 지원할 때 큰 어려움을 겪는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사기관, 피해지원기관(공공), 교육상담기관에서 피해지원을 하고 있는 실무자들이며 피해지원 분야별로 느끼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양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한계점,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hild and adolescent digital sexual crime victimization are increasing consistently, on various platforms. Former studies on digital sex crimes targeting teenagers have focused on surveys, legal improvement plans, comparative studies of foreign cases, or victims and offenders themselves. These studies spotlighte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laws via the reality of digital sex crimes against teenager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latforms used in digital sexual assaul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eenagers are victimized from the perspective of victim support staff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possible ways to improve Telegram and Discord, where assault videos are most frequently circulated, shared, and sold. Legislation and research on digital sex crimes, books and reports, statistics and survey data, seminar data organized by women’s organizations, and research literature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media usage and damage. After that, through interviews with victim support staff with field experience, teenagers’ experience of digital sex assaults and victim support were analyzed. It was concluded that offenders committed online grooming, by using platforms that teenagers frequently use and can communicate within to approach them in a friendly manner, to exploit, spread and sell victimized videos via the platform. Telegram and Discord are frequently u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latforms make it greatly difficult to support the victim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aff who are providing victim support at investigation agencies, public damage agencies, and educational counseling institutions, and there were variou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ir fields. Finally, the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work were presented as a conclu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선호 음식 및 소비 양상
-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도박문제의 관계
-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 원인 인식에 대한 요인구조 연구
- 소년연령의 기준에 관한 논의
-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비판적 사고 성향, 임상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 자율주행차 선호 좌석 및 착석 자세에 대한 연구
- 경찰기관 정보공개 처분의 실태와 시사점
- 정부청사 보안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실무자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피해경험
-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호관찰관의 지지와 준수사항 위반과의 관계
- 범죄경력자 및 가족 대상 가족심리지원사업 효과 분석
- 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실 안전 정보 활용이 기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 초보간호사의 간호실무준비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