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실 안전 정보 활용이 기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7
- 영문명
- Effects of Laboratory Safety Information Utilization on Institutional Safety Management: Focusing on the Subjects of the Laboratory Safety Ac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조한진 김태훈 이황원 노영희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1호, 147~1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6년에 시행된 연구실안전법에 의거하여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구실 안전 관련 정보의 활용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 관련 정보들이 연구실 현장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관의 연구실 안전관리에 정부에서 제공되는 어떠한 정보가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여 연구실 안전 관련 정보 제공의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정보 제공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실안전법에 의거하여 제공되는 각종 연구실 안전 관련 정보를 유목화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실안전법 대상자들에게 이메일로 안내를 하고, 온라인 URL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총 1,288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071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정,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실 안전사고와 관련된 정보의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연구실 안전관리 자료 활용은 대학과 연구기관이 기업부설연구소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실 사고 현황,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 등 발간 자료, 안전교육 정보 등은 연구실 사고 예방과 연구자들의 안전 의식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연구활동 및 업무수행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부에서는 연구실에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해서 수시로 업데이트를 하여 최신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실 안전관리와 관련된 정보는 연구실 안전에 다양한 도움을 주기 때문에 현장에서 원하는 정보가 어떤 것이 있는지 수요조사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기관에 제공해주어 기관 안전관리가 잘 될 수 있게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various laboratory safety-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the Laboratory Safety Act enforced in 2006. In addition, it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afety-related information on laboratory field safety management.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heck what kind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s helpful for institutional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to confirm the performance of laboratory safety-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and to confirm the future direc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To this end, various laboratory safety-related information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Laboratory Safety Act was nomadic,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it. A total of 1,288 copies of the survey were retrieved by e-mailing information to those subject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and conducting the survey using an online URL. Of these, 1,07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nd SPSS 25.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mean difference test between group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laboratory safety accidents was the highest, and the majority of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data utiliza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n in a business-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atus of laboratory accidents, published materials such as manuals and guidelines, and safety education information were helpful in preventing laboratory accidents and improving researchers' safety awareness, and also in research activities and work performanc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the latest information by frequently updat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o laboratories. 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related to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provides various help to laboratory safe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institution through a demand survey to find out what information is desired in the field to help the institution's safety management work wel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선호 음식 및 소비 양상
-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도박문제의 관계
-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 원인 인식에 대한 요인구조 연구
- 소년연령의 기준에 관한 논의
-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비판적 사고 성향, 임상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 자율주행차 선호 좌석 및 착석 자세에 대한 연구
- 경찰기관 정보공개 처분의 실태와 시사점
- 정부청사 보안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실무자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피해경험
-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호관찰관의 지지와 준수사항 위반과의 관계
- 범죄경력자 및 가족 대상 가족심리지원사업 효과 분석
- 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실 안전 정보 활용이 기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 초보간호사의 간호실무준비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