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 원인 인식에 대한 요인구조 연구
이용수 72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 Structure for the Recognition of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in Temporary Workers: Focusing on the Theme Park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익형 이준원 소한섭 이양우 유희복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1호, 29~4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테마파크는 유원시설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도소매업, 숙박업 등과 더불어 서비스업에 해당한다. 테마파크는 노동집약적 구조로 인해 많은 단기 임시종사자들이 근무하기 때문에 경미한 사고를 비롯하여 각종 사고가 줄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경기도 소재 대형 테마파크 A사의 경우 연간 약 480만 명이 넘는 방문객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4~10월까지 성수기에는 단기 임시종사자의 규모가 일일 약 2,000명을 넘고 있다. 이에 테마파크에서 근무하는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테마파크 A사 소속 부서장 17명의 인터뷰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원인을 설문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A사 소속 단기 임시종사자 370명을 대상으로 ‘22.12.1~12.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설문 항목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6개의 설문 항목이 시설/설비, 교육, 의사소통, 심리, 규제/정책의 5개 요인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기 임시종사자는 5개의 요인구조 중 규제 / 정책 요인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교육, 의사소통, 심리, 시설/설비 순이었다. 금 번 연구 결과는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가설적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요인별 중요도 인식에 상대적인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단기 임시종사자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들에 집중하여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테마파크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금 번 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전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이 정규직 종사자들에게서는 어떤 특성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한다면 테마파크 산업재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me parks in South Korea are classified as amusement facility businesses and correspond to the service industry along with wholesale, retail, and lodging industries. Theme park has a labor-intensive structure with many temporary workers working, leading to various accidents including minor accidents. Company A, a large theme park in Gyeonggi Province, has more than 4.8 million guests annually, and th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exceeds about 2,000 per day during the peak season from April to Octob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an effective approach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work for the temporary workers in the theme park. In this study, the cause of safety accidents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a survey through interviews with 17 department heads belonging to large theme parks A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70 temporary workers belonging to Company A from December 1st to December 20th,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found to be good, and 26 questionnaire items were composed of five factor structures: facilities, education, communication, psychology, and regulation/policy. It was confirmed that temporary workers have the highest awareness of regulatory/policy factors among the five factor structures. Next, education, communication, psychology, and facilities were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hypothetical factor structure of the cause of safety accidents of temporary workers and confirming that there are relativ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by factor. It is believed that establish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by focusing on factors that temporary workers perceive as important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me park safety accidents.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prevent theme park industrial accidents if we investigate how the perception of the cause of safety acciden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differs from regular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선호 음식 및 소비 양상
-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도박문제의 관계
- 단기 임시종사자의 안전사고 원인 인식에 대한 요인구조 연구
- 소년연령의 기준에 관한 논의
-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비판적 사고 성향, 임상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 자율주행차 선호 좌석 및 착석 자세에 대한 연구
- 경찰기관 정보공개 처분의 실태와 시사점
- 정부청사 보안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실무자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피해경험
-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호관찰관의 지지와 준수사항 위반과의 관계
- 범죄경력자 및 가족 대상 가족심리지원사업 효과 분석
- 재난현장 소방지휘관 지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지휘능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실 안전 정보 활용이 기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
- 초보간호사의 간호실무준비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