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용수 237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Cancer Ward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양희모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1호, 135~14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암 병동에 근무 중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도덕적 고뇌,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전문직 자율성과 도덕적 고뇌가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는 암 환자 간호 경험이 있는 6개월 이상 경력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연구가 시행된 의료기관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2022년 7월 11일부터 2022년 7월 29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기기입식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 도덕적 고뇌, 간호업무성과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율성, 도덕적 고뇌, 간호업무성과는 t-test, ANOVA로,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전문직 자율성과 도덕적 고뇌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전문직 자율성은 5점 만점에 2.65점, 도덕적 고뇌는 2.83점, 간호업무성과는 3.75점으로 나타났다. 성별, 결혼상태, 종교여부, 직위, 총 임상경력 등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율성, 도덕적 고뇌, 간호업무성과를 분석한 결과, 전문직 자율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년 차 이상의 간호사들이 1~3년 미만의 간호사에 비해 도덕적 고뇌(F=6.336, p=.002)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일 경우(t=-2.256, p=.029), 책임간호사 이상(t=-5.044, p<.001), 총 임상경력 5년 이상인 경우(F=11.025, p<.001)에서 간호업무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2.205, p<.001), 총설명력은 23.8%였다.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임상 경력(β=.280, p<.001), 전문직 자율성(β=.267, p<.001)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간호조직 내 경력개발제도 개발을 통해 개별 간호사의 간호역량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향상뿐 아니라 간호조직의 인적자원 관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autonomy, moral di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cancer war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veniently extracted from 180 nurses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in nursi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reat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11, 2022 to July 29, 2022, when the clinical research review committee of the medical institution where the study was conducted, and a self-fill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analyzed using Cronbach's alph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subject's professional autonomy, moral di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s. Professional autonomy, moral di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nd post-test was analyzed by Scheffé test. The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autonomy and moral distress on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professional autonomy was 2.65 points out of 5, moral distress was 2.83 points, and nursing performance was 3.75 points. As a result of analyzing professional autonomy, moral di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religious status, position,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autonomy. Nurses over the 3rd year were found to have higher moral distress than nurses under 1~3 years, and nursing performance was higher when married, responsible nurse or more, and when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more than 5 yea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ression model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nursing performanc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3.8%. Clinical experience and professional autonom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trategy is needed to develop and support individual nurses' nursing capabil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areer development system within the nursing organization to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cancer ward nurses. These effor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of nursing organizations as well as on the improvement of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cancer war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희모. (2023).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안전문화연구, (), 135-146

MLA

양희모. "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안전문화연구, (2023): 13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