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56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teres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찬 고인규 길영재 김연정 장한울 김희필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1호, 103~1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문제 해결에 기반한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 개발된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 변화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ADDIE 모형의 절차에 의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FGI 검증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필기구를 거치할 수 있는 발명품 제작」으로 선정하고 10 차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각 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수업에 활용할 교육자료도 제작하였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기술적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술적 창의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 집착력과 호기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흥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3D modeling based on solving invention problems.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t is to verify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terest change. To achieve this aim, a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procedure in the ADDIE model. The developed program was finally completed after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The selected subject for the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Production of inventions that can hold writing instruments.” A 10-hour program was organized, and a teaching plan was prepared for each session in addition to class material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sub-domain of technological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obsession and curiosity. The students created 3D drawings using Tinkercad for their concept drawings. Because the experiential activity of directly observing the 3D expression of the conception was developed, the will to express one's own until the end was developed, which exhibited an effect on task obsession.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curiosity about 3D drawing production programs and inventions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results. The paired-sample t-test was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interes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During the program, it was judged that interest in invention and 3D drawing production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and exchanging opinions and, presenting and evaluating their own work and the work of 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현황 및 관심사 분석
- 예비 기술교사의 3D프린팅 활용능력 함양을 위한 체험활동과제 및 수업자료 개발
- Reflection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in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 업 사이클링을 활용한 실과 의생활 단원의 용품 만들기 수업 자료 개발
- 초등 메이커 교육에서 팅커링(tinkering)의 의미와 유형 탐색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목차
-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 분석 및 개선 방안
- 초등 교사의 실과 교과서 활용실태와 요구 분석
- 중학교 학교내 무한상상실 목공 체험활동과제 및 수업자료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