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현황 및 관심사 분석
이용수 366
- 영문명
- Analysis of AI education status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online community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수영 이철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방향성 및 인공지능 교육 활성화 방안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현황과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관련 관심사 그리고 초등 인공지능교육 관련 토픽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표적인 초등교사 온라인 커뮤니티인 인디스쿨에서 수집한 게시글 데이터 중 중복 게시글 및 연구 주제와 관련 없는 게시글을 삭제한 후 최종적으로 454개의 게시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기초분석 및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초등 인공지능 교육 현황에 대해 탐색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관련 게시글의 기간에 따른 추이를 살펴보았다. 인공지능교육 관련 게시글이 초등교사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된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부터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관련 관심사를 분석하기 위하여 텍스트마이닝의 단어빈도 분석을 실시한 후 인공지능 교육 관련 핵심어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핵심어들을 근거로 인공지능 교육이 주로 운영되는 수업형태와 수업활동, 활발하게 사용되는 교육 플랫폼, 저작권 문제의 중요성 등에 대해 유추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인공지능 교육 관련 토픽이 무엇이며 토픽별 키워드에 대해 탐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의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최적의 토픽 개수를 3개로 결정하였으며 토픽에 따른 상위 30개 단어를 정리한 후 각 토픽의 키워드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토픽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각 토픽명은 ‘인공지능 수업 설계 및 운영’, ‘인공지능 수업 역량 개발’, ‘인공지능 수업 콘텐츠 활용 및 개발’이며 각 토픽명에 해당하는 게시글의 예시또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I education, the interest shown by elementary teachers in AI education, and topics related to elementary AI education, to obtain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AI education policy and ways to revitalize AI education. After deleting duplicate posts and posts un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in the post data collected by IndiSchool, a representative online communit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established, followed by conducting basic and text-mining analyses using 454 posts as the research subject.
First,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I education, the trend according to the period of AI-related postings was examined. From analyzing the trend of posts related to AI education uploaded to the online commun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evident that interest in AI education had increased since 2020.
Next, to analyze the interest in AI education expres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requency of words from text mining was examined and keywords related to AI education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selected keywords, the class types and class activities in which AI education was mainly operated, its active use on educational platforms, and the importance of copyright issues were established.
Finally, a topic modeling analysis of text mining was conducted to explore AI education-related topics within the online commun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keywords for each topic. First, the optimal number of topics was determined as three, and after organizing the top 30 words according to topic, keywords for each topic were selected and the name of each topic was established: “design and operation of AI class,” “development of AI class competency,” and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AI class content.” Ultimately, examples of posts corresponding to each topic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현황 및 관심사 분석
- 예비 기술교사의 3D프린팅 활용능력 함양을 위한 체험활동과제 및 수업자료 개발
- Reflection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in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 업 사이클링을 활용한 실과 의생활 단원의 용품 만들기 수업 자료 개발
- 초등 메이커 교육에서 팅커링(tinkering)의 의미와 유형 탐색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목차
-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 분석 및 개선 방안
- 초등 교사의 실과 교과서 활용실태와 요구 분석
- 중학교 학교내 무한상상실 목공 체험활동과제 및 수업자료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