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용수 63
- 영문명
- Analysis of Community Needs and Improvement Plan for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기혁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1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조사 연구를 위하여 조사 대상은 무선으로 문화다양성 관련 271개 기관 및 단체와 8 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설문 조사를 위한 11 문항과 전문가 조사를 위한 8 문항으로 개발하였으며, 회수된 137 개 기관 및 단체의 조사 내용은 SPSSWIN 22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평균 차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조사 내용은 전문가 유형별로 분석한 후 다시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주제별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매우 높았으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와 전문가 조사에서 나타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전문성 있는 기관 및 단체의 선정과 지원, 전문 인력의 양성 및 확보, 지역사회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추진, 충분한 예산 확보 및 행・재정적 지원, 적극적인 홍보, 프로그램 추진 결과의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아카이브 구축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추진 체계 구축, 지역사회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추진, 인적・물적 자원 확보, 충분한 예산 확보 및 집행, 운영 과정의 개선,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 문화다양성증진센터(가칭) 설립 및 운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선을 통하여 체계적인 운영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와 지역사회의 유기적 연계, 지역사회의 전문 인력 확보 및 활용, 예산확보 및 공정한 집행, 지역사회의 특성과 요구가 반영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과 추진, 지역사회 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공감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needs of the community for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For the research study, 271 institutions/organizations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and 8 experts were randomly selected as subjects of a survey.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with 11 questions for the survey and 8 questions for the expert survey, and the SPSSWIN 22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cross-tabulation and mean difference analysis to the survey content of 137 institutions/ organizations that responded. In addition, the expert survey content was analyzed according to expert type, and then the analysis content was synthesized and analyzed by subject.
Althoug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 were considered very high,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 The demands revealed in the survey and expert survey included the following: the selection and support of institutions/organizations with expertise; the cultivation and securing of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various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ommunity; securing a sufficient budge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t was found that active public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rchive for the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program promotion results.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essential: establishment of a program promotion system;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ommunity; securemen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ecurement and execution of sufficient budgets; improvement of operational processes; establishment of a public-private partnership network; and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center (tentative name).
Therefore, to derive systematic operation and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rograms, creat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communities, secure and utilize local experts, secure and execute budgets fairly, and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ocal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and promote existing programs and actively participate and sympathize with local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
Ⅳ.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개선 방안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 현황 및 관심사 분석
- 예비 기술교사의 3D프린팅 활용능력 함양을 위한 체험활동과제 및 수업자료 개발
- Reflection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in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 업 사이클링을 활용한 실과 의생활 단원의 용품 만들기 수업 자료 개발
- 초등 메이커 교육에서 팅커링(tinkering)의 의미와 유형 탐색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목차
- 문화다양성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요구 분석 및 개선 방안
- 초등 교사의 실과 교과서 활용실태와 요구 분석
- 중학교 학교내 무한상상실 목공 체험활동과제 및 수업자료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