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mercialization Model for the Activation of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조용경 김재환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247~2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주거서비스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활성화 측면에서 저렴하고 보편적인 주거서비스가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서비스 활성화 측면에서 AI 스마트 하우징 시장 활성화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AI 스마트 시장 분석을 통해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의 가격과 기능의 두가지 요소에서의 시장 접근 형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AI 스마트 하우징 활성화를 위한 가격, 표적시장,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한 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의 수준차이는 있지만 AI 스마트 하우징 구현 측면에서 전후방의 다양한 산업계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총 11개의 기능수준을 기준으로 16개 유사·경쟁시장 및 대체 시장의 기능을 정량화 한 결과 최저 2개 기능 수준에서 최대 7.5의 기능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의 경우에도 6.5-8정도 수준의 기능수준을 구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격구간의 경우 구독의 유통방식을 취하는 경우 0.11~6.49 만원/월의 구간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방식으로 유통되는 경우는 간단한 제품의 경우 2천원 정도부터 시작하지만 스마트 가전으로 구현할 경우 약 2,000만원까지 가격이 형성돼 있다. 마지막으로 표적시장 및 표적시장의 특성, 가격수준, 플랫폼 기능, 핵심 고객가치(서비스) 등을 종합 정리하여 사업화 모델을 7개 유형을 수립하였다. 입문용, 보급형 청년용, 보급형 고령자용, 고급형 1-2인 가구형, 고급형 3-4인가구 이상 형, 고급형 고령층, 최고급형으로 구분하였다. 보급형의 경우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주거복지 차원에서의 적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demand for new housing services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but in terms of activation, affordable and universal housing services are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AI smart housing market was confirmed in terms of housing service activation, and through AI smart market analysis, various market participants tried to analyze the market access patterns in two factors: price and function.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esent a commercialization model including price, target market, and service provided for the activation of AI smart housing.
As a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functions, various industries in the front and rear are forming the market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AI smart housing. As a result of quantifying the functions of 16 similar/competitive markets and alternative markets based on a total of 11 functional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lowest two functional levels had a maximum functional level of 7.5. In the case of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it was analyzed that a functional level of about 6.5-8 would be implemented. In the case of the price range,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method of subscription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0.11 to 6.49 million won/month. In the case of distribution by purchase, simple products start at about 20 million won, but when implemented with smart home appliances, the price is formed up to about 20 million won.
Finally, seven types of commercialization models were established by comprehensively summarizing the target marke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arket, price level, platform function, and core customer value (service). It was classified into entry-level, entry-level youth, entry-level elderly, high-end type, 1-2-person household type, high-end type, 3-4-person household type or more, high-end senior type, and high-end type. In the case of the entry-level type, it can be considered for application in terms of housing welfare,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AI 스마트 하우징 시장 분석
Ⅳ. AI 스마트 하우징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