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Smart Urban Regeneration Evaluation Indicators: Focusing on the Business Districts of Changwon, Jinju, and Namhae, Gyeongnam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이재희 김혜림 김남훈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53~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종합성과지표 및 기존사업지구의 성과를 분석하고, 스마트지표에 따른 도시재생사업의 현실을 점검하고 스마트도시재생을 위한 정책변화를 위한 주체별 역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을 위해 국토부의 도시재생 종합성과지표 중 공공데이터로 구득이 가능한 8개 지표를 활용했으며, 스마트요소 적용 부분도 함께 평가했다. 그 결과 스마트요소에 대해 단위사업 추진, 시설물 설치 위주로 계획되고 있었으며, 진주성북지구의 경우 본 사업에서 특화사업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이 특이점으로 볼 수 있다. 스마트도시재생 관련 세부지표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및 AHP분석결과 행정분야의 지표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현재 도시재생 성과지표에서는 행정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지표 또는 제도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론을 제시했다. 첫째, 광역 및 기초지자체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도시재생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정부-광역 및 기초지차체-중간지원조직의 긴밀한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지역현황에 적합한 스마트도시재생사업의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제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performance of existing business districts, check the rea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cording to smart indicators, and propose roles for policy change for smart urban regeneration.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eight indicators that can be obtained from public data were used among the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application of smart elements was also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planned to promote unit projects and install facilities for smart elements, and in the case of Jinju Seongbuk District, it can be seen that it is planned as a specialized project from this project. As a result of expert surveys and AHP analysis on detailed indicators related to smart urban regeneration, indicators in the administrative field were analyzed to be very important, but there are currently no indicators or systems that can be applied in the administrative fiel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conclusions were presented. First,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need to prepare institutions for the systematic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ose governance of the government-wide and basic local governments-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for the continuous promotion of smar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rd, local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need to develop and propose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itable for regional statu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정책동향분석
Ⅲ.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Ⅳ. 스마트도시재생 지표 중요도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