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심희철 김재환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71~8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재정투자사업 심사의 합리적인 투자결정을 위해 기존 지방재정투자심사에 대한 선행연구와 사업평가에 대한 방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성적 부분을 정량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새로운 지표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함의를 포함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평가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분과별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는 투자사업에 새로운 분과체계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등급별 배점표를 제시하였으며 배점표는 각 요소 당 10점 만점으로 값을 책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본적 투자사업, 중간적 투자사업, 선택적 투자사업의 분야 분류를 바탕으로 새로운 분과 구성에 대한 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현행 분과 체계를 고려하여 기본적 투자분과, 중간적 투자 1분과, 중간적 투자 2분과, 선택적 투자 분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투자심사에 활용된다면 그간 문제로 지적되어 오던 주관적 심사기준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기초자료로서 조금 더 일관성있고 객관적인 시각에서의 심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previous research on local financial investment reviews and the project evaluation method for rational investment decisions related appraising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s. Measures were developed to quantify qualitative reviews, and new indicators were created. Lastl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considered, and a new evaluation system and sub-system for divisional investment projects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results include a score table for each grade, with perfect scores set at 10 points for each element. A proposal for a new division was also mad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asic, intermediate, and optional investment projects. Taking the current division system into account, the proposal suggested the basic investment division, the intermediate investment first division, the intermediate investment second division, and the optional investment division.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nvestment screening can be conducted from a more objective and consistent standpoint, because it provides basic data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subjective screening standards, which have been seen as problematic.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Analysis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