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Old City Center Using Public Building Asset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근성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195~2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여 주거복지를 실현하고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노후주거지 재생뿐 아니라 성장산업 육성, 고용정책, 복지정책까지 포괄하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 전국사업지구에 약21.8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나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추진은 계획보다 지연되고, 예산집행이 낮아 실행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막대한 공적자금의 투입에도 불구하고 원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성과가 부족하고, 수립된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소프트웨어 사업은 원활히 추진 되었으나, 하드웨어 사업은 토지수용 및 주민합의 부족 등의 문제로 사업의 실행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시행에서 발생된 문제점인 사업예산의 집행률 저하에 대한 근원적인 원인을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서 제시된 사업들과 비교 분석하고, 사업추진에서 발생된 문제점 도출과 원주민 및 현장지원센터 전문가 관점에서 현상을 분석해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도심 활성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도시재생뉴딜사업 중심시가지형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지구내 유휴 공공건축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원도심 정주환경을 활성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is the project led by the local community to realize housing welfare and create employment in the locality, and as such, it embraces not only the revitalization of aging residential areas, but also employment and welfare policies. Based on December 2020, in nation-wide projects, about 21.8 trillion KRW has been injected as part of the budget, but the promotion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 has led to unexpected delays, and there has been the problem of low execution due to low budget execution. Despite the infusion of vast amounts of public funds, the feeling of difference due to the projects has been rather weak, and although the software aspects of the urban revitalization plans has been smoothly carried out, the hardware aspects such as the receiving of land and agreement with the local residents has seen shortfalls, leading to the low execution of the projects. We are striving to find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low execution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through comparison analyses with the enterprises suggested by the urban revitalization projects, analyzing the problems that emerged from the promotion of the enterprise, as well as the sit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ocal residents and the on-site assistance center specialists, to seek a rational solution. We aim to approach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which directly affect the Old City Center revitaliza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Central City Type model, and for the seamless execution of the projects, we have the express purpose of making active use of unused public building assets in the locality to stimulate settlement of the Old City Center.
목차
Ⅰ. 서 론
Ⅱ.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이론적 검토
Ⅲ. 공공건축자산의 활용
Ⅳ. 진주시 중심시가지형 뉴딜사업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