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이용수 49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sulation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of Hanok Wall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경천 강태중 유인호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117~1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인류가 직면하게 된 인구 증가, 기후 변화, 자원 고갈, 각종 환경오염 등의 환경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고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각종 노력을 위한 공감대가 확산 되었다. 건축분야에서도 친환경과 관련한 건축재료, 시공방법, 생태학적 디자인 등이 점차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웰빙이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각광받고 있으며 삶의 질적인 문제에 입각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조화를 통한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축적 요구도 늘어나고 있다. 세계의 모든 전통건축이 그러하듯 한국 전통건축 역시 주어진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결과물로 남아 있다. 한국의 전통건축은 한반도가 가지는 지리적, 기후적, 문화적, 인문학적 요소 등과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오랜 시간을 지내오며 한국인의 요구에 맞도록 다듬어져 왔으며 특히, 주거건축인 한옥(韓屋)은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장점들로 우수성을 인증받고 있다. 특히, 한옥은 친환경 재료로 건축 되어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웰빙과 관련한 주거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있어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한옥은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고가(高價)의 건축비 문제와 단열 성능의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어 저변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주거건축의 경우 변화하는 모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하는 목적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여름 및 겨울철에 냉·난방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생활환경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에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성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기존의 한옥 구조는 벽체 구성의 특성상 단열이 미흡하여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주요 구조부를 목재로 사용하는 건축의 특성상 재료비 및 인건비가 고가에 해당되고, 방부(防腐), 방염(防炎), 방충(防蟲) 등에도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어서 이 또한 한옥 보급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기술과 건축비 절감 및 단열성능이 강화된 모듈형 벽체가 융합된 친환경 한옥 벽체 구조물을 연구하여 한옥의 우수성을 알리며 한옥의 보급을 활성화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한옥 벽체의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방식들의 문제점 및 단점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며, 나아가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한옥을 건축하였을 경우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한 점들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한국 전통건축물들의 주요 구조부 및 벽체와 관련한 부재의 불량 시공사례 등을 조사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기존의 한옥 벽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에 해당하는 방부, 방염, 방충의 문제뿐만 아니라 단열 성능을 개선하고, 시공방법도 편리하며 시공비도 절약되는 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해 결구(結構) 방법을 적용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공비의 차이를 확인하고 계획방식과 적용기술에 관한 내용과 그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한옥 벽체의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of hanok walls,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nd the optimal construction method of wooden structures were improved,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of lightweight memb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irtightness performance of the wall is improved. To ensure insulation performance, a groove in which a wall line can be inserted closely is made on a column, and a wall line is inserted into it. The core material selection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to minimize drying shrinkage and minimize deformation.
Second, the construction cost by material saving has been reduced. Instead of using the whole wood, it wa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cost of materials through high yield by using wood-oriented wood materials and using Douglasfer for wood tree species.
Thir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securing the ease of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By establishing a processing system for major components of hanok and building detailed construction data, mass production is possible at the factory, so the standardized process and cost management system can be established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목차
Ⅰ. 서 론
Ⅱ. 한옥의 문제점 및 불량 시공사례 분석
Ⅲ. 한옥 벽체의 성능 개선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