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Study on App Contents for Building a Daily Life Safety Information System at Home: Targeting Infants and Toddler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최정민 김유나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129~1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 내 영유아의 생활안전 관련 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육아 경험이 있는 전국의 20~49세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영유아 육아과정에서의 생활안전 관련 경험과 인식, 생활안전 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도 등에 대해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에서 육아 생활안전 관련 정보는 맘카페의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남성에게는 비공개로 운영되는 등 접근성의 어려움과 신뢰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현재 온라인상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생활안전 관련 정보는 공공기관에서 주로 발신하고 있으나 제공 콘텐츠는 상식적이고 중복되는 내용이 많으며, 가정 내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는 매우 찾기 힘들다. 셋째, 설문참여자의 응급의료 정보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가운데, 개선방안으로 시급한 것은 콘텐츠의 양과 질, 종합적이며 맞춤형 콘텐츠로의 개선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활안전 관련 수요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해 설문참여자 특성을 세분화한 결과, 생활안전에 매우 민감한 '민감형'과 '일반형'으로 구분되었는데, 이 중 안전 민감형은 생활안전 관련 정보시스템 희망의 모든 평가항목에서 있어서 더 적극적인 요구 및 참여희망 수요특성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system related to the daily life safe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 hom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women aged 20-49 across the country who had experience in child-rearing on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safety in the process of raising infants and toddlers, as well as their demands for a daily life safety information system. As a result, first, in Korea, a lot of information related to childcare safety is provided through the community bulletin board of Mom Cafe, but it is operated privately for men, showing difficulties in accessibility and limitations in reliability.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daily life safety for children in online is mainly supplied by public institutions, but the content provided is common sense and has many overlapping contents,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information targeting infants and toddlers in the home. Third, while the survey participants' demand for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was high, the urgent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was improvement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ontent and comprehensive and customized content. Finally, as a result of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in order to provide content customized to consumers related to safety issues, they were divided into 'sensitive' and 'general', which are very sensitive to living safety. Among them, the safety-sensitive type showed more active demand and demand for participation in all evaluation items of hope for information system related to safety for infants and toddlers at home.
목차
Ⅰ. 서 론
Ⅱ. 생활안전 사고와 관련 연구
Ⅲ. 설문조사 및 기초분석
Ⅳ. 설문응답자 특성에 따른 수요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