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이용수 18
- 영문명
- Effect of FM Operation Manual Experience on Workers’ Work Competency and Asset Management: Effect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ulti-Group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태규 정준호 이강용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95~1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FM 종사자들을 경험 집단과 인식 집단으로 분류하여 비주거용 건축물 운영매뉴얼에 대해 종사자의 업무역량 효과 및 자산관리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으로, 이를 위한 FGI 구성은 시설관리전문회사 팀장, 관리소장으로 구성하여 운영매뉴얼 경험 집단 208명, 인식 집단 65명의 집단으로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는 첫째, 두 집단 간의 종사자 업무성취도와 업무효율성에 대하여 인식 집단보다 경험 집단에서 의미 있는 분석결과가 산출되었다. 그리고 안전관리 운영매뉴얼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유주와 테넌트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경험 집단과 인식 집단에서 업무성취도와 업무효율성에서 종사자들의 교육 및 훈련에 유의성이 높게 산출되었다. 이는 종사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실효성 있는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운영매뉴얼 경험 집단이 인식 집단보다 자산관리 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FM 운영매뉴얼에 대해 실제 경험한 집단과 인식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을 분석한 최초의 시도이며, 실무적으로는 건축시설물 자산관리에 있어서 실효성 있는 운영매뉴얼을 도입하여 활동하는 것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M workers into an experience group and an awareness group,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workers' work competency and asset management on non-residential building operation manuals. For this purpose, the FGI composition consisted of a team leader of a facility management company and site managers, and 208 people in the operation manual experience group and 65 people in the awareness group were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first, meaningful analysis results were found in the experience group rather than the recognition group about the work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of workers. And the safety management operation manual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ce. This has implications for owners and tenants. Second, in the experience group and the perception group,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workers in the work achievement and work efficiency is high. This means that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workers continuous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manual experience group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sset management effect than the perception group.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actually experienced the FM operation manual and the group that perceived it. In practice, it i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effective operation manual in the asset management of building fac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실증연구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 목차
-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 COVID-19 등 팬데믹 이후의 부동산시장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주체별 선호도 분석
- 공공건축자산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AI 스마트 하우징 구축이 서울시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
- 현대건축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복잡계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설립이 주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a Local Financial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System
- 가정 내 생활안전 정보시스템구축을 위한 앱 콘텐츠에 대한 연구
- 한옥 벽체의 단열 및 시공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지방거점도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사업 성과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 FGD를 통한 지역사회 차원의 농업이주노동자 주거지원 탐색
- 풍수해생활권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 FM 운영매뉴얼 경험의 종사자 업무역량과 자산관리 효과
- 주택도시기금 신규재원 확충을 위한 프랑스 주택행동기금의 적용가능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