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Subject Content Knowledge in a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Class: Focused on folktale based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용훈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375~3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교과내용 지식이 문학 수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소질이 수업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을 초등 국어 문학 수업을 예로 들어 검토했다. 중등에 비해 초등은, 교과지식의 중요성이나 비중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인식되기도 하나,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요건임에 틀림없다.
이 글에서 관찰한 수업은 민담을 제재로 인물과 배경의 특성을 탐구한 수업이다. 교사는 교육연극적 기법을 활용해 생동감 넘치는 수업을 전개했다. 그런데 수업은 맥락에 따른 배경과 인물의 특성을 검토하기보다 특정 공간에서 인물이 겪었던 심리상태를 소개하는데 그쳤다. 이러한 수업 결과는, 교과 내용 지식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습 활동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민담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했을 때 배경과 인물의 특성을 고려한 읽기 역시 가능했으리라는 것이다. 이는 수업의 모형이나 형식도 중요하나 교과 내용이 보다 강조돼야 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사례라 하겠다. 굳이 교수학습전환이라고 하지 않더라도 교사에겐 교과의 내용 지식을 수업에 잘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nalysis is how content knowledge of korean was influencing on the pratice of teaching. Subject as an expert teacher’s aptitude to influe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at it is an important requirement,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to do the actual classes, for example, examined how it works. Elementary and secondary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content knowledge and the relative neglect of gravity may recognize one elementary class also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o think abou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than the background to introduce the space behavior and psychological state experienced in introducing stopped.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dependent of the target classes. Therefore,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instructional objectives than the type of class bilingual teaching in the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is applied need to b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quest-story or initiation-story, and folk tales of the spac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n the behavior of the main character a little more look closely.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subject matter, which fits folklore that seems appropriate to apply.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the subject matter, and the lesson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request, the appropriate use of language knowledge.
목차
1. 시작하며
2. 분석 방법과 대상
3. 교과내용 지식과 문학 수업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