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xpresses thought Process for Education: Recognition of thought Process Experience Speech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93~1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중학생의 경험 말하기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수행 이전의 사고 과정을 자동사고 기술지를 통해 도출하여 효율적으로 경험적 사고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동사고 기술지를 통해 도출된 범주는 무슨 경험을 떠올리느냐와 관련된 주제범주에서 가장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경험을 떠올리는 방법에 대한 어려움과 청중을 인식한 관계 범주의 순으로 사고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경험 말하기 표현 교육의 차원을 세 차원으로 언급하면 참여자 개인의 의미 생성 차원, 개인 경험 확장을 위한 방법적 차원, 청중과 원활한 소통을 위한 관계적 차원에 따라 교육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중학생은 인생 전반에 걸친 삶의 시기에서 중간 단계로 독자적인 삶을 형성하는 시기로서 경험이 갖는 의미는 특별하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사고 과정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paper purposes to be capable of including thought of experience derived from auto accident technical support to express speaking experience efficiently. The categories which are for educational approach derived from automatical thinking skills paper show a lot of problems about the category related what you come up with your story. Moreover the people have a difficulty of categories about how to think there experience and being aware of the audience in order. According to the result, we can purpose three dimensions of speaking representation of experience as A creating meaning dimension of personal meaning, A method dimension to expand of personal experience and An educational’s way to communicate for the audience. Throughout the life time because they are in an intermediate step, it is special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something. In this study, there might be a special meaning because they approach the learner’s thinking process in the educational way.
목차
1. 들어가며
2. 경험적 사고 과정 인식 실태 분석
3. 경험 말하기 사고 과정에 따른 교육 방안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