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Using Digital Storytelling: Class Project for American Colleg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나은영 나은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235~2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digital-story telling)을 활용한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다가갈 수 있는 한국어 수업 방법을 보여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의사소통이라는 것은 일방향의 구조가 아니라 양방향의 구조를 지니는 것으로, 상호 작용을 그 근본으로 하고 있다.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이러한 상호 작용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소통의 매체인 디지털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학습의 도구로 삼아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들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활용된다면 한국어 교수ㆍ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digital storytelling as a vital pedagogical tool that can be utilized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light of the current trends in the use of technology to effect language learning, there is a need to venture into new scopes so as to make this process versatile. Trends in contemporary language learning have continued to mount pressure on the need to impro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based on mutual interaction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hence the need for a digitally viable solution. In this case, digital storytelling comes out as one of the best options that have the capacity to develop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besides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the target language. The current gener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very familiar with the use and application of digital devices and can therefore find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both manageable and attractive. As a result, digital storytelling will emerge as an instrumental yet powerful teaching and learning medium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digital storytelling as a Korean language-teaching devic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s provide the background of digital storytelling in language learning and introduce the exhaustive examples in usage of digital storytell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