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이용수 50
- 영문명
- The Expansion and Integration of Expres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민병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7~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국어 교육의 내용 영역 가능태로서 표현 교육의 개념과 위상을 고찰하고 표현 교육론의 정립 방향을 전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먼저 표현 교육의 정체성 찾기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동인을 사회적 측면, 학문적 측면, 학습자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표현 교육의 개념을 인문학적, 의사소통론적, 매체론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표현 개념의 확장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여기에서 표현 개념은 음성, 문자, 영상을 통한 의미 전달을 넘어서 이러한 매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자와의 관계에서 사람다움을 이루기 위한 적극적 자유 행위로 규정된다. 표현 교육의 확장에 대해서는 대상, 목표, 내용, 방법의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표현 교육의 대상은 모어 화자에서 KSL 학습자까지, 아동·청소년에서 성인까지, 일반인에서 전문가까지 확장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목표와 내용 차원에서는 다양한 확장 방향을 논의하고 그 문제점을 함께 지적하였다. 방법 차원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의 제약 요인과 그 해소 방안을 논의하였다. 표현 교육의 수렴에 대해서는 대상, 목표, 양식, 내용, 방법 차원 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표현 원리의 통합적 탐구와 표현 교육 연구의 다차원적 접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expression education as a possible compon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s how to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for it. The study raises the need to develop disciplinary identity of expression education and discusses its background in terms of social, academic, and learner-centred aspects. Furthermore, it explores the concept of ‘expression’ from the viewpoints of humanities, communication and media theory, and argues that expansion of the concept is needed. The study defines expression as an active freedom-pursuing act aimed at becoming a man of decent character. With regard to the expansion of expression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possible contributors,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In addition, it suggests how to effectively combine these elements. Finally, the study expresses the need for examining the principles of integrated expression and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expression education.
목차
1. 논의의 배경
2. 표현 개념의 중층성
3. 표현 교육의 원심력과 확장성
4. 표현 교육의 구심력과 수렴성
5. 통합적 표현 교육론의 전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