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Expression Education’ and Evaluation of Developed Countries: Case of France and New Zealand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장한업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27~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모든 언어교육은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다. 듣기와 읽기가 이해 능력이라면, 말하기와 쓰기는 표현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이 표현 능력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표현 교육’이라는 용어까지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용어는, ‘구어 교육’이나 ‘문어 교육’과는 달리, 언어교육학계에서 통용되는 용어라 보기 어렵다. 그 주된 이유는, ‘말하기 교육’과 ‘쓰기 교육’을 굳이 하나로 묶어 교육해야 할 뚜렷한 이유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본 논문을 통해, ‘표현 교육’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따로 설정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하는 대신에, 우리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해당하는 프랑스와 뉴질랜드와 같은 선진국에서는 말하기와 쓰기를 어떻게 교육하고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두 나라의 사례는, 읽기에 지나친 비중을 두고 있는 우리의 언어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 주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Some scholars today often use the term ‘Expression education’ to refer to education that involves both speaking and writing. This term, however, seems rather difficult to be accepted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So, rather than defining so-called ‘Expression education’, I, as one of those who believe the creation of such a term to be unnecessary, stress the need of teaching and evaluating speaking and writing skills in language courses. In fact, the French Baccalaureate and New Zealand’s National Certificat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NCEA) evaluate the speaking and writing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ir learning. “Let’s compare our languages”, a DVD material developed in France, shows us how to make full use of foreign students’ language competenc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목차
1. 언어교육과 평가
2. 프랑스 바칼로레아에서의 프랑스어
3. 뉴질랜드 NCEA4) 프랑스어 평가
4. 프랑스 이민 학생 대상 프랑스어 교육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