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of Korean Locative Alternation Structure by L1 Japanese Speak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261~2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판단을 관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처소교체 구문은 타동사문과 자동사문, 형용사문이며, 교체의 유형을 장소명사에 ‘에’가 결합하는 전형적인 처소 격 표지 문장과 그렇지 않은 비전형적인 격 표지 문장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화자(이하, 한국인)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이하,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판단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연구문제 1)와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판단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지 여부(연구문제 2)를 확인하였다. 총 16개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판단을 실험 참여자들에게 확인한 결과 용언 유형과 격 표지 유형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인에 비해 낮은 점수를 얻어 처소교체 구문의 문법성 판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습자 하 집단이 상 집단과 문법성 판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자동사문과 형용사문으로 처소교체 구문의 습득에서 용언의 유형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확인했다. 아울러 처소교체 구문의 습득의 언어맥락으로서 비전형적인 격 표지 실현뿐만 아니라 논항의 의미역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ammaticality judgment on Korean locative alternation structures of L1 Japanese speak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RQ 1. Is the grammaticality judgment of Japanese L1 speakers(JK) on Korean locative alternation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NK)? RQ 2. Is there proficiency variation in grammaticality judgment of Japanese L1 speakers of Korean on the structure? The participants were 27 Korean native speakers and 40 Japanese L1 speakers. Their proficiency levels were either intermediate or advanced. The material used was grammaticality judgment consisted of 16 sentences of locative alternation structure. The independent t-tests have been conducted to answer the RQ 1 and RQ 2. The findings of study are 1) the learners showed lower grammaticality judgments on locative alternation structures than those of NKs. 2) JK low group showed low grammaticality judgments on the sentences with intransitives and adjectives when they are compared to JK high group.
목차
1. 서론
2. 한국어 처소교체 구문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