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for Expended Acceptance Method of Text using Method of Self-Biographical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149~1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많은 텍스트들이 자전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 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텍스트들을 ‘삶과의 소통’이라는 맥락에서 확장적으로 수용하고, 필요한 상황에서 관련된 텍스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자전적 텍스트에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전적 텍스트가 갖는 서술 방식은 다양한 시각에서 정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필자의 삶을 소재로 한다는 점, 1인칭의 고백적이거나 성찰적인 문체를 갖는다는 점, 시간의 순서에 따른 연대기적 서술법을 사용한다는 점 등을 대표성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전적 텍스트의 개념을 규정하고, 현재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구현되고 있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에서 이러한 자전적 텍스트의 성격을 찾아내고, 다양한 텍스트에서 의도하는 소통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확장된 자전적 텍스트들은 교과서 지문으로 활용되고, 우리 삶에서 직접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텍스트 형태로 제시됨으로써 여러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many texts of that we meet in daily life have self-biographical elements. In a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need to accept widely these texts in a context of ‘communication with life’, and aimed at develop accessibility to self-biographical texts for learners that enable to produce right texts in a case of need. Method of description what self-biographical texts can arrange in various sights, but generally can typically apprehend in these point that being based on writer’s life, having confessional or reflective style of writing, using chronological description method according to order of sequence. This study wants to enact conception of Self-Biographical Text, to seek for characters of Self-Biographical Text in various texts that are embodied in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textbook at present. These expended self-biographical Text can be used in passages in textbooks, and can expect many educational effects by suggesting various kinds of texts that we can directly meet in our life.
목차
1. 들어가며
2. 자전적 텍스트의 개념 규정
3. 교육과정에 구현된 자전적 텍스트의 성격
4.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확장된 자전적 텍스트의 활용과 실제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