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이용수 13
- 영문명
- Treatise on Relative Strength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Modern Kore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엄태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9호, 345~37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음운론은 음운현상이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전제하고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국어의 다양한 음운현상을 다른 기준으로 볼 때 동등한 가치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본고는 국어의 다양한 음운현상이 동등한 가치 혹은 강도나 세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는 가설 아래 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두 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범위이고, 둘째는 음운규칙이 필수적으로 적용되는가 아닌가의 여부이다. 통시적으로도 규칙이 확장되거나 소멸중인 것이 있었는데 이는 첫 번째 기준인 규칙 적용의 범위라는 기준에 포함될 것이다. 형태·통사범주에 의존적인 규칙은 순수음운규칙보다 적용 범위가 협소하기 때문에 약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범주 의존적 규칙 중에는 규칙이 소멸과정에 있는 것도 있고 확장 중에 있는 것도 있었다. 순수음운규칙 중에는 필수적 규칙과 수의적 규칙이 구분되었다. 그 결과 도표<1>과 같은 순서로 음운현상의 강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정서법 등 국어정책에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Existing works assume that all phonological phenomena hold same value. However,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such assumption may not be tr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relativistic existence of difference in strength or value of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which are unlike the assumption of uniform strength or value considered in vocalization or nasalization, under two different categories. The two criteria are:certainty of the application, and the range of the phonological rule. This paper claims that due to relatively narrower range of morpho- syntatic category dependent rules such as tensefication that comes after predicate stem nasal sound compare to that of pure phonological rule such as nasal assimilation, morpho-syntatic category dependent rules are ‘weaker’. Among the morpho-syntatic category dependent rules, some are in the process of disappearance and some are in the process of expansion. Pure morphological rules can be further subdivided by compulsory rules and optional rules. Applying above criteria, relativistic strength of phonological phenomena is revealed as follow . Such result will be beneficial for creation of new theory as well as Korean Language related policy such as education for natives,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orthography.
목차
Ⅰ. 서론
2. 규칙 적용의 범위에 따른 상대적 강도
3. 수의적 규칙과 필수적 규칙
4. 변화가 진행 중인 규칙
5.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
- 초등 문학 수업에서 교과 내용 지식의 의의 연구
-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 초등학생의 동료 논평이 고쳐 쓰기에 미치는 영향
- 현대국어 음운현상의 상대적 강도에 대하여
-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
-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
-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텍스트의 확장적 수용 방안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처소교체 구문에 대한 문법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