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Dong-gyu Yi’ Modern Historical Drama Nakranggongju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347~3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민족이야기와 연애담이 결합된 호동설화는 야담은 물론이거니와 역사소설과 역사극 등 역사문학 전반에 걸쳐 가장 빈번하게 호출된 소재의 하나였다. 그 가운데 이동규 작 <樂浪公主>는 호동설화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인 결정적 텍스트였다. 이러한 이력에도 불구하고 <樂浪公主>는 그간 한국 근대 역사극 논의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이 작품에 대한 빈한한 선행연구들마저 창작 시점을 둘러싼 오해와 그로 인한 오독 탓에 정확한 텍스트 이해와 정당한 평가를 내놓고 있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성과와 한계를 타산지석 삼아 <樂浪公主>의 판본 및 서지에 관한 정리를 논의의 일차 과제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텍스트 내적인 자질과 시대적 문맥을 동시에 고려하여 <樂浪公主>가 역사극으로서 거둔 대중적 흥행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는 데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그 구체적인 실행 방법으로 본 연구는 <樂浪公主>에 나타난 설화적 모티프의 문학적 수용 양상을 탐찰하는 데 집중하였다. 이로써 이 작품에 내재된 역사 전유의 심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Dong-gyu Yi’ modern historical drama Nakranggongju which was made from Hodong tale as a motif. This motif has been most popular material to historical literature writers. In 1939 Dong-gyu Yi wrote drama Nakranggongju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public perception on this motif. Despite this history, Nakranggongju did not receive much notice in discussions of Korean historical play. Because of misunderstanding the written period of this work the poor pilot studies over this work did not understand the text completely and review fairly. As a lesson of their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his study brought in the bibliography research of Nakranggongju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Based on that results to analyze the performance factors of this work is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The implementation details was to contemplate the acceptance phase for tale as a motif. In doing so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blind insight of the imperial discourse exists in the deep structure of this work.
목차
1. 문제제기
2. 창작 시점과 공연 이력
3. 설화의 역사적 전유와 문학적 수용
4. 민족서사와 제국담론의 분열과 습합
5.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