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이용수 36
- 영문명
- Reading Strateg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천경록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39~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내용교과의 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해서 내용교과의 하나인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선정하여 학습읽기 전략의 반영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습읽기는 국어과에서 학습한 읽기 능력이 내용교과 학습의 도구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는 ‘SQ3R, 질문하기, 요약하기, 중심생각 수레바퀴, 대조표, 상호텍스트’ 등과 같은 전략들이 주요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기능 측면에서는 전략들은 정보텍스트의 이해, 독립적인 학습 유지, 비판적 사고 기능 등을 주로 의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읽기 전략 제시의 명시성은 높지 않았다. 초등 사회과 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습읽기 전략을 좀 더 명시화, 체계화 하고, 교사용지도서에도 학습읽기 전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학습읽기 전략들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을 기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 개발에 읽기교육 전공자들이 컨설턴트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area reading strategies in the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to improve the content subject textbooks. Traditionally, reading researcher distinguished learning to read in the language arts and reading to learn in the content area. The language art, specially reading, is a tool in the learning content subjects. As a results, the strategies such as ‘SQ3R, questioning, summarizing, wheel of main idea, contrast table, and intertextuality,’ are most frequently appeared. These strategies intended to improve the comprehension of informational texts, developing independence in learning,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vocabulary. However most of these strategies are not clearly presented. To improve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a few policy were suggested. Clearing the presentation of strategies, including content area reading strategies in the teacher’s manuals, planning the teacher education with priority given to frequently strategies, and participating reading researcher as consultant are necessar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