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aspect of Korean learners’ listening strategies use: Focusing on comparing Chinese Learners and Vietnam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전형길 국지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281~3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 102명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설문지를 작성한 후 학습자 조사를 거쳤다. 이후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인지적, 상위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전략 요인 등 네 개의 요인을 얻었다. 학습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은 인지적 전략으로 이는 가장 의식적으로 고양된 전략이다. 더불어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각 전략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는데, 특히 인지적 전략과 상위인지적 전략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고 상위인지적 전략과 사회적 전략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습자별 전략 사용 양상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인지적 전략과 상위인지적 전략은 숙달도가 상승해도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으나 정의적 전략과 사회적 전략은 평균이 낮아졌다. 특히 정의적 요인에서 이러한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었다. 국적별로는 중국 학습자에 비해 베트남 학습자의 전략 사용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그 중에서 인지적 전략의 사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정의적 전략의 사용은 고급 베트남 학습자들에게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of listening strategies of 102 KFL learners. For this study,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KFL learners use cognitive, meta-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strategic factors when they perform listening comprehension. Statistically, each strategy is related to the others. In particular,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highly related and meta-cognitive and social strategies are relatively lowly related. When KFL learners had high level of proficiency,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remained the same, but the average of affective and social strategies lowere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ffective strategy. Vietnamese KFL learner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using strategies compare to Chinese KFL learners. Particularl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In addition, affective strategies were rarely used among advanced Vietnamese learners. To complement the limit of interpreting the result by 2 researcher, numbers of Korean education experts' feedback were accompanie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substantial development of Korean listen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